Q
2025-05-18 09:14:13

이 증상이면 원인이 뭘까요.??

방금 서있었는데, 갑자기 속이 막 안좋아지고 배가 막 아파서 화장실에 갔는데 이명이 엄청나게 들리고 눈 앞이 하얘지기 시작했습니다 손과 발이 저려졌고 어지러운건지는 잘 모르겠는데 계속 바닥으로 쓰러질 것 같이 기울어졌습니다 속이 너무너무 안좋았고 가슴 윗쪽이 답답한듯 아팠습니다 그리고 얼굴이 엄청 뜨거웠습니다 이마쪽과 관자놀이쪽으로 빙 두른 곳 부근이요 머리도 지끈거리고 그냥 침대에 쓰러지듯 누웠는데 누워서 온 몸에 힘을 빼고 누워있었는데 손목은 뒤로 굽어지고 손가락은 말렸고 힘이 잘 들어가지 않았습니다 이명은 삐ㅡ소리에서 약간 수도에서 물 틀어둔 것 같은 사ㅏ하는 소리로 바뀌며 여전히 컸습니다 그리고 식은땀이 심하게 많이 났네요..

다시 이럴까 봐 샤워도 못하고 조금 움직이다 다시 누웠다 그러고있네요 내일 병원에라도 가볼까 하는데 이걸 뭐 어떻게 설명할 지도 모르겠고 병원에 간다고 나아지는 건가 싶네요 검사를 해도 어떤 검사를 해야할 지 궁금합니다

요즘에 입맛도 별로 없고 체중도 빠졌는데 관련있나 해서 적어봅니다 왜 이럴까요...ㅠㅠㅠㅠ 병원 가야한다면 그냥 근처 내과 가면 될까요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겪으신 증상에 대해 자세히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갑작스럽게 발생한 여러 증상들이 복합적으로 나타나 매우 불편하셨을 것 같습니다. 말씀해주신 증상들을 바탕으로 몇 가지 가능성 있는 원인과 앞으로의 대처 방안에 대해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가능성 있는 원인: 1. 미주신경성 실신: 갑작스러운 속 울렁거림, 복통, 이명, 시야 흐려짐, 손발 저림, 어지럼증, 식은땀, 쇠약감 등은 미주신경성 실신의 전조 증상과 매우 유사합니다. 미주신경은 심박수와 혈압을 조절하는 중요한 신경인데, 특정 상황(스트레스, 통증, 피로 등)에서 미주신경이 과도하게 활성화되면 심박수와 혈압이 급격히 떨어져 뇌로 가는 혈류량이 감소하면서 실신이나 실신 직전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예시: 장시간 서 있거나, 갑작스럽게 일어설 때,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을 때 발생하기 쉽습니다. 2. 기립성 저혈압: 갑자기 일어설 때 혈압이 급격하게 떨어지면서 뇌로 가는 혈류량이 부족해져 어지럼증, 시야 흐려짐, 쇠약감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예시: 탈수 상태이거나, 특정 약물(혈압약, 이뇨제 등)을 복용하는 경우, 장시간 누워 있다가 갑자기 일어설 때 발생하기 쉽습니다. 3. 불안/공황 발작: 극심한 불안이나 공황 발작 시 가슴 답답함, 호흡 곤란, 심장 두근거림, 어지럼증, 손발 저림, 식은땀 등의 신체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예시: 특정 상황이나 장소에 대한 극도의 두려움, 과거의 트라우마, 스트레스 등이 유발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4. 전해질 불균형: 심한 설사, 구토, 탈수 등으로 인해 체내 전해질(나트륨, 칼륨 등) 균형이 깨지면 근육 경련, 쇠약감, 어지럼증, 심장 부정맥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예시: 과도한 운동, 심한 설사, 구토, 신장 질환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5. 빈혈: 철분 부족 등으로 인해 혈액 내 산소 운반 능력이 저하되면 어지럼증, 피로감, 두통, 창백함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예시: 불규칙한 식습관, 과도한 다이어트, 월경 과다 등이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체중 감소 및 입맛 부진과의 관련성: 최근 입맛이 없고 체중이 감소했다는 점은 위에 언급된 원인들과 관련이 있을 수도 있고, 없을 수도 있습니다. 만약 미주신경성 실신이나 기립성 저혈압과 관련된 증상이라면 일시적인 컨디션 저하로 인해 입맛이 없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체중 감소가 지속된다면 다른 기저 질환(갑상선 기능 항진증, 당뇨병, 위장 질환, 우울증 등)을 의심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병원 방문 및 검사: 내일 병원에 방문하시는 것은 매우 좋은 생각입니다. 가까운 내과에 방문하셔서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자세히 설명해주세요. * 증상: 발생 시점, 빈도, 지속 시간, 동반되는 증상들을 자세하게 설명해주세요. * 과거력: 과거 병력, 복용 중인 약물, 알레르기 등을 알려주세요. * 생활 습관: 식습관, 수면 습관, 스트레스 정도 등을 알려주세요. 의사 선생님은 환자분의 증상과 과거력을 바탕으로 필요한 검사를 결정할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검사를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 혈액 검사: 빈혈, 전해질 불균형, 갑상선 기능 이상 등을 확인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 심전도 검사: 심장 기능 이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시행합니다. * **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