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9-05 11:49:14

주휴시간 계산관련 질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번 채용임금관련 질문을 하고 싶어 글을 올립니다. 우선 7월달 총 근로시간이 170시간이 책정이 되어있었고 휴일(일요일근무)가 없었고,하루에 8시간씩 근무를 해서 5일 만근한 주일이 1주가 있습니다.그리고 저희 근로환경상 2교대근무로 새벽출근을 하는 시간이 오전4시30분 출근임에 궁금한사항을 질문을 드리겠습니다.

1.제가 알고 있기로는 야근근로수당이 전날오후 10시에서 다음날 6시까지시간에 한해 시간당1.5배의 임금이 나와야 하는걸로 알고 있습니다. 그런데 저희 임금계산이 된 걸로봤을때 시급+0.5배라고 책정이 되있는데 왜 이렇게 된건지 모르겠어요. 야간근로수당을 받으려면 저같은 경우 4:30분 출근이니 1시간30분에 관한 임금계산이 0.5배가 아닌 1.5배가 되야 하는거 아닌가요?

2.주휴시간계산 관련해서도 질문을 들이겠습니다. 7월달 총 근무시간이 170시간이고 5일 만근한 주가 1주가 있습니다. 근데 왜 24.8시간이라는 시간 책정이 어떻게 계산이 되서 그렇게 되는지 궁금합니다.(총근무시간이 170시간 총 일한 일수는18일정도 출근을 했네요.)

3.마직막 질문은 2번에서 질문들인것과 이어지는 질문입니다. 주휴시간이 총 24.8시간으로 책정이 되서 주휴수당을 받을 경우 제가 얼마를 받아야 맞게 받는건가요?! 계산법과 왜 그러게 되는지 설명도 같이 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제가 궁금한건 3가지 질문들입니다. 근로계약서성에 주휴수당이나 야간근로수당에 대한 책정 기준이 명확하게 기제가 되어잇지 않았고,급여명세서 또한 그렇게 책정이 되는 이유가 명확히 계산 설명이 되지 않은바, 계산법을 알고 있지 않으면 왠지 임금을 덜받을거 같다는 생각이 들기고 했고, 한가지 의문이 드니 여려가지가 복합적으로 오는거 같고 그러네요..도움 주실수 있는 분들에 답변 기다리겠습니다.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임금 관련 질문 주셨네요. 근로계약서에 명확한 기준이 없어 답답하신 마음 이해됩니다. 3가지 질문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1. 야간근로수당 관련 * 법적 기준: 근로기준법상 야간근로수당은 밤 10시부터 다음날 아침 6시 사이에 근무하는 경우, 통상 시급의 50%를 가산하여 지급해야 합니다. 즉, 시급의 1.5배를 받는 것이 맞습니다. * 예시: 시급이 1만원이라면, 야간근로 시에는 시간당 1만 5천원을 받아야 합니다. * 확인 사항: 급여명세서에 '시급 + 0.5배'로 표기된 이유를 회사에 문의하여 정확한 설명을 들으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회사가 법을 위반하고 있다면, 노동청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2. 주휴시간 계산 관련 * 주휴수당: 주휴수당은 1주일 동안 규정된 근무일수를 모두 채운 근로자에게 유급으로 주어지는 휴일에 대한 수당입니다. * 계산 방법: 1. 1주 총 근로시간 계산: 170시간 ÷ 18일 × 7일 ≈ 66.1시간 (1주일 평균 근로시간) 2. 1일 근무시간 계산: 66.1시간 ÷ 7일 ≈ 9.4시간 3. 주휴시간 계산: 40시간/주 * (66.1시간/주 / 40시간/주) = 주휴시간 (최대 8시간) * 24.8시간의 의미: 24.8시간은 한 달 동안 발생한 주휴시간을 합산한 것으로 보입니다. 정확한 계산 내역은 회사에 문의하여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3. 주휴수당 계산 관련 * 계산 방법: 주휴수당 = 1일 근무시간 × 시급 * 예시: 시급이 1만원이고, 1일 근무시간이 8시간이라면, 주휴수당은 8만원입니다. * 총 주휴수당: 24.8시간 × 시급으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시급이 1만원이라면, 총 주휴수당은 24만 8천원이 됩니다. 추가적으로 확인해야 할 사항 * 근로계약서 재확인: 근로계약서에 주휴수당, 야간근로수당 관련 내용이 있는지 다시 한번 꼼꼼히 확인해 보세요. * 급여명세서 상세 내역 요청: 회사에 급여명세서의 상세 내역을 요청하여 수당 계산 과정을 명확히 확인하세요. * 노동 관련 전문가 상담: 필요하다면 노동 관련 전문가(노무사, 변호사 등)와 상담하여 정확한 권리를 확인하고 도움을 받는 것을 고려해 보세요. 정확한 임금 계산은 근로계약 내용, 실제 근무 시간, 시급 등 구체적인 정보를 바탕으로 이루어집니다. 회사에 문의하여 정확한 계산 내역을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