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9-28 03:52:47

뷰티샵 교육비 위약금

저는 왁싱샵에서 3주 정도 근무를 했으며 현재는 퇴사를 한 상황입니다. 왁싱샵에서는 300만원이라는 교육비를 요구하였고 1년 근무 조건을 걸어 되돌려주겠다는 계약서 작성을 했습니다.

저는 3개월에 100만원씩 나눠서 내겠다 했고 계약서 내용을 수정하여 계약했습니다.

그러나 실질적 교육도 제공되지 않았고 매장 청결유지 관리목적의 잡일만 시켰고 교육비를 위약금이 있다는 이유로 퇴사를 못하게 락인하는 목적으로 사용하였습니다. 또한 교육비와 관련된 계약서도 본인이 가지고 있고 저에게 주지도 않았습니다.

퇴사를 하게 된 사유를 말씀 드리자면 휴일은 사업주가 일방적으로 지정하였고, 묵묵히 받아들였습니다. 가족 이슈가 있어 한 번은 휴가를 같이 조정하는 건 안 되냐고 요청하자 “호의를 권리로 안다”, “선을 넘었다” 등 모욕적인 발언을 들었습니다. 또한 2인자인 타 직원은 사업주가 시킨 단순 업무에 대해 반복적인 무시·질책의 피드백을 의도적이고 지속적으로 주어 정신적 스트레스 유발시켰고 이에 퇴사 결정을 하게 되었습니다.사업주는 제가 교육을 받았고 교육비를 지급해야 한다고 주장합니다.

왁싱 기술 교육을 단 한 차례도 제공되지 않았으며, 사업주는 계약서를 교부했다는 허위 주장을 지속했으며받지 못했음에 대한 얘기 언급 시 회피했습니다. 회피 이후 납부 강요 및 교육비를 받기 위한 소송에 대한 협박성 발언이 있었습니다.

또한 퇴사 후 퇴사 당일 약속이 잡혀있던 모델에게 예약 시간 전 예약 취소 안내를 했음에도, 모델비 및 위로금까지 요구하며 지급명령을 보낸 상황입니다.

현재 이의신청서를 제출한 상황인데 제가 교육비와 모델비를 지급하게될 가능성이 큰건지 아닌지 조언을 받고자 문의드립니다. 또한 추가로 프리랜서가 아닌 근로자로 근무했지만 4대 보험도 가입하지 않았고 급여명세서를 확인해보니 임의로 프리랜서로 처리한점과 이 전에 직원이 입사 당일 2인자와 다툼이 있어 근로계약서 작성도 없이 하루만에 짤라 문제가 된적이 있는데 추가서면에 작성하여 유리하게 작용이 되는지도 문의드립니다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왁싱샵 교육비 및 퇴사 관련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계시는군요. 법률 전문가는 아니지만, 현재 상황에 대한 이해를 돕고 몇 가지 조언을 드릴 수 있습니다. 1. 교육비 지급 의무: * 교육 내용 및 제공 여부: 왁싱 기술 교육이 실제로 제공되지 않았다면 교육비 지급 의무는 약해질 수 있습니다. 교육 내용, 시간, 강사, 교재 등을 구체적으로 입증할 자료(사진, 동영상, 증인 등)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계약서 교부 의무 위반: 사업주가 계약서를 교부하지 않은 것은 명백한 계약 위반입니다. 계약서 미교부는 귀하에게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으며, 사업주의 주장을 약화시키는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근로 환경: 휴일 지정, 모욕적인 발언, 직장 내 괴롭힘 등은 정당한 퇴사 사유가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부당한 대우가 교육 미제공과 함께 입증된다면 교육비 지급 의무를 더욱 낮출 수 있습니다. 2. 모델비 지급 의무: * 예약 취소 통보: 퇴사 당일 모델에게 예약 취소 사실을 미리 알렸다면 모델비 및 위로금을 지급할 의무는 없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약 취소 시점, 통보 방법, 모델과의 연락 내용 등을 기록해두세요. * 사업주의 손해: 사업주가 모델비 및 위로금을 요구하려면 귀하의 예약 취소로 인해 발생한 실제 손해를 입증해야 합니다. 3. 추가 서면 작성: * 4대 보험 미가입 및 프리랜서 처리: 귀하가 근로자로 근무했음에도 사업주가 4대 보험에 가입하지 않고 프리랜서로 처리한 것은 명백한 불법 행위입니다. 이는 귀하가 근로자였음을 입증하는 중요한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 부당 해고 사례: 이전 직원의 부당 해고 사례는 사업주의 부당한 행태를 보여주는 간접적인 증거가 될 수 있습니다. 4. 종합적인 조언: * 증거 확보: 교육 미제공, 부당한 대우, 계약서 미교부, 예약 취소 통보 등 귀하의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모든 증거(카톡, 문자 메시지, 녹음 파일, 사진, 동료 진술 등)를 최대한 확보하세요. * 법률 전문가 상담: 위 내용은 일반적인 조언이며, 실제 법적 판단은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변호사 또는 법률구조공단과 상담하여 구체적인 법률 자문을 받는 것을 추천합니다. * 노동청 신고: 4대 보험 미가입 및 부당한 근로 환경에 대해서는 노동청에 신고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중요: 위 내용은 법률 전문가의 자문이 아니며,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정확한 법적 판단은 반드시 변호사 등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여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