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6-14 04:47:51손가락 엑스레이를 찍었는데 혹시 골절이 보이나요?
문에 손가락이 끼었는데 이틀째 아파서 엑스레이를 찍었습니다.
엑스레이에 대한 의사 소견은 다음주에 듣기로했지만 미리 알고 싶어 올립니다.
혹시 골절이나 다른 부상이 보일까요?



A
Dr.s Diagnosis안녕하세요. 엑스레이 사진을 올려주셨네요. 사진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는 어렵지만, 몇 가지 눈에 띄는 점을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전반적인 소견
* 골절 여부: 엑스레이 사진을 면밀히 살펴보았을 때, 뼈의 연속성이 끊어진 명확한 골절선은 뚜렷하게 보이지 않는 것 같습니다. 하지만, 미세한 골절이나 실금(hairline fracture)은 엑스레이 상에서 놓치기 쉬우므로 주의 깊게 살펴봐야 합니다.
* 연부 조직 손상: 골절이 뚜렷하지 않더라도, 문에 손가락이 끼인 외상으로 인해 인대, 힘줄, 연골 등의 연부 조직 손상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이러한 손상은 엑스레이에서 직접적으로 확인하기 어렵습니다.
다음 단계
1. 정형외과 전문의 진료: 다음 주에 예정된 의사 소견을 꼭 들으시길 바랍니다. 정형외과 전문의는 엑스레이 사진을 더욱 자세히 판독하고, 필요한 경우 추가 검사를 통해 정확한 진단을 내릴 수 있습니다.
2. 추가 검사 고려: 의사의 판단에 따라 CT 촬영이나 MRI 검사를 통해 미세 골절이나 연부 조직 손상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증상 완화: 현재 통증이 지속되고 있으므로,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증상 완화를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 냉찜질: 손상 부위에 냉찜질을 하면 혈관을 수축시켜 통증과 부기를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하루에 2~3번, 한 번에 15~20분씩 냉찜질을 해주세요.
* 소염진통제: 통증이 심한 경우, 의사 또는 약사와 상담 후 소염진통제를 복용할 수 있습니다.
* 손가락 보호: 손가락을 움직이지 않도록 부목이나 테이핑으로 고정하고, 무리한 사용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주의사항
* 자가 진단 금지: 엑스레이 사진만으로 섣불리 자가 진단을 내리거나 치료를 시작하지 마세요. 반드시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과 처방에 따라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 통증 악화 시 즉시 병원 방문: 통증이 점점 심해지거나, 손가락의 감각이 없어지거나, 움직임에 제한이 생기는 경우에는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예시
만약 엑스레이에서 골절이 발견되지 않았지만, 통증이 지속되고 있다면 다음과 같은 상황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 인대 손상: 손가락 관절을 지지하는 인대가 늘어나거나 파열된 경우, 엑스레이에서는 이상이 없더라도 통증과 불안정감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타박상: 뼈에는 이상이 없지만, 뼈를 둘러싼 연부 조직에 출혈과 부종이 생겨 통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정확한 진단은 전문의의 몫이지만, 엑스레이 사진을 바탕으로 가능한 정보와 대처법을 안내해 드렸습니다. 부디 빠른 쾌유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