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5-28 11:07:11의사선생님 이정도 골절이면 수술해야할까요?
넘어져서 골절이 됐습니다. 동네 병원 가보니 수술이 필요할꺼 같기도하고 안필요할꺼같기도해서..혹시 모르니 내일 큰병원을 가보라는데..이상태면 수술을 하는게 나은건가요? 아니면 비수술 치료로 가는게 좋을까요?6주뒤에 미국을 가야되는데..걱정입니다ㅠㅠ

A
Dr.s Diagnosis안녕하세요. 골절로 걱정이 많으시겠네요. 사진으로만 섣불리 판단하기는 어렵지만, 몇 가지 의학적 조언을 드릴 수 있습니다.
1. 골절 형태:
* 분쇄 골절: 뼈가 여러 조각으로 부서진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 전위 골절: 뼈 조각들이 정상적인 위치에서 벗어난 경우, 수술로 정복해야 할 수 있습니다.
* 개방성 골절: 골절 부위가 피부 밖으로 노출된 경우, 감염 위험 때문에 반드시 수술적 치료가 필요합니다.
* 관절 내 골절: 관절 면까지 골절이 이어진 경우, 관절의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어 수술적 치료를 고려합니다.
2. 비수술적 치료 가능성:
* 안정 골절: 뼈가 안정적으로 유지되고, 전위가 없는 경우 깁스나 보조기 등으로 고정하여 치료할 수 있습니다.
* 소아 골절: 소아의 뼈는 치유력이 좋아, 약간의 전위가 있어도 비수술적으로 교정될 수 있습니다.
3. 수술적 치료의 장단점:
* 장점: 뼈를 정확하게 정복하고, 안정적으로 고정하여 빠른 회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특히, 관절 내 골절이나 불안정 골절의 경우 수술적 치료가 필수적입니다.
* 단점: 수술에 따른 감염, 혈관 손상, 신경 손상 등의 합병증 위험이 있습니다. 또한, 수술 후 재활 치료가 필요합니다.
4. 6주 뒤 미국 방문:
* 골절 부위와 치료 방법에 따라 미국 방문 가능 여부가 달라집니다. 수술을 받게 된다면, 6주 안에 완벽하게 회복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비수술적 치료를 받더라도, 깁스나 보조기를 착용한 상태로 장거리 여행을 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5.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
* 환자의 나이와 건강 상태: 나이가 많거나 기저 질환이 있는 경우, 수술적 치료의 위험성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 환자의 활동 수준: 활동적인 생활을 하는 환자는 수술적 치료를 통해 빠른 회복을 기대할 수 있습니다.
6. 제안:
* 큰 병원 방문: 현재 상태로는 수술 여부를 단정하기 어렵습니다. 내일 큰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의의 정확한 진단과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 전문의와 상담: 골절 형태, 환자의 상태, 미국 방문 일정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치료 방법을 결정해야 합니다.
* 수술 후 재활: 수술을 받게 된다면, 재활 치료 계획을 세우고 꾸준히 시행해야 합니다.
빠른 쾌유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