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6-11 09:49:17

호르몬이상 부정출혈 임신가능성

안녕하세요. 제가 임신준비중인데 산전검사를 난임병원가서 했어요 다른문제는 없고, 다낭성소견만 조금 있다고 31살인데 나이 25세로 더적게 나왔더라구요. 그달에 난임병원에서 초음파+배란유도제+난포터지는주사 처음 맞고 실패하고나서 다른 부작용은 없었는데 생리양이 그 주기에 엄청 줄더라구요. 난임병원에서는 다낭성이 심하진 않다고 일반산부인과가서 초음파보면 된다고해서 그 다음부터는 일반산부인과에서 초음파를 봤구요. 이번에 배란유도제 브라트라정 5일처방받고 먹고서 병원내원했을때 자궁내막이 얇다고 내막 두껍게 하는 용도로 프로기노바 하루 2정씩 오전 오후로 나눠서 5일치 처방받아 먹은지 3일차에 내원하니 내막이 두꺼워지고 있다고 숙제하는날까지 5일치 다 먹으라고 하시고 그날 숙제날짜를 잡아주시고 난포터지는주사도 맞고왔어요. 당일 밤 숙제 한 날 다음날 밤부터 3일간 분홍빛 피가 비치길래 배란혈인가 싶었는데 피나온지 4일차부터 피가 생리처럼 많이 터지더라구요. 그러고 병원가보니 호르몬때문에 출혈이 발생할수 있다고 하셨는데 피가좀 고여있다고 확인하고 다녀온뒤부터 더 심한 생리통같은 통증과 빨간피가 생리양 보다 더 많게 나와여ㅠ 아직도 피가 나오고있고요ㅠ 초음파를 봤을땐 배란은 됐다고 하셨고 제대로 묻지를 못했어요ㅠ 부정출혈인지 생리인지도 잘 모르겠고ㅠ 생리 기간은 아닌데 .. 이렇게 부정출혈이 계속나올경우 배란은 되긴했지만 이번주기에 임신은 어려운건가요? 숙제 다음날부터 3일간 선홍빛 살짝 뭍어나오고 4일차부터 8일차인 지금까지도 빨간피가 콸콸나오더니 양이 많고 배에 살짝만 힘줘도 쭉쭉나와여ㅠ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임신 준비 중 겪고 계신 부정출혈 때문에 걱정이 많으시겠네요. 겪고 계신 상황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주셔서 감사합니다. 1. 부정출혈 원인: * 호르몬 변화: 배란유도제(브라트라정)와 자궁내막을 두껍게 하는 약(프로기노바) 복용으로 인해 호르몬 수치가 변동하면서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프로기노바는 에스트로겐 성분으로, 복용 중단 후 자궁내막이 불안정해져 출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배란혈: 숙제 다음 날부터 3일간 분홍빛 피가 비친 것은 배란혈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배란 과정에서 난포가 터지면서 소량의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착상혈: 수정란이 자궁내막에 착상하는 과정에서 소량의 출혈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착상혈은 보통 소량으로 비치는 정도이며, 콸콸 쏟아지는 듯한 출혈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 자궁내막 폴립 또는 근종: 자궁내막에 폴립이나 근종이 있는 경우 호르몬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여 출혈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기타: 드물게는 자궁경부염, 자궁경부 폴립, 자궁외임신 등이 부정출혈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2. 임신 가능성: * 배란 여부: 병원에서 초음파 검사 결과 배란이 되었다고 하셨으므로, 임신 가능성은 열려 있습니다. * 부정출혈 영향: 부정출혈이 지속되는 경우 자궁내막의 상태가 불안정해져 착상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부정출혈이 임신을 어렵게 만드는 것은 아닙니다. * 정확한 진단: 현재 겪고 계신 출혈이 부정출혈인지, 아니면 생리인지 정확히 판단하기 어렵습니다. 병원에 다시 방문하여 출혈의 원인을 파악하고, 필요한 검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3. 추가 조언: * 병원 재방문: 출혈이 멈추지 않고 양이 많아지고 생리통 같은 통증이 심해진다면, 반드시 병원에 다시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세요. * 출혈 양상 기록: 출혈의 양, 색깔, 기간, 동반되는 증상 등을 자세히 기록해두면 진료 시 도움이 됩니다. * 충분한 휴식: 몸에 무리가 가지 않도록 충분한 휴식을 취하고, 스트레스를 줄이세요. * 건강한 식습관: 균형 잡힌 식단을 통해 영양을 충분히 섭취하세요. 철분 부족을 예방하기 위해 철분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는 것도 좋습니다. 4. 예시: * 만약 출혈이 생리 예정일보다 1주일 이상 빠르고, 평소 생리량보다 많다면 호르몬 불균형으로 인한 부정출혈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 반대로 출혈이 생리 예정일과 비슷하고, 양이 적으며 며칠 내로 멎는다면 착상혈일 가능성도 있습니다. 5. 면책 조항: 본 답변은 일반적인 의학 정보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작성되었으며, 전문적인 의학적 진단이나 치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반드시 의사의 진료를 받고 상담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