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5-26 13:30:38

손가락 저림

4번째 5번째 손가락 저림이 생긴지는 6개월정도 되었습니다. 운동을 격하게 하다가 어느 순간 부터 저리기 시작했었는데 아직까지도 호전이 되질 않아 고민입니다..

정형외과 다니면서 팔꿈치 터널 증후군이라고 얘기를 들었지만 팔을 오래 접고 있어도 저리지 않고, 오히려 팔을 들어올리거나 어깨를 접었을때 저림이 생기는 거 같습니다. 선생님께 말씀드려도 팔꿈치 나 목 문제라고 하시는데..

근전도 검사도 2회나 진행했는데 다 이상 없다라고 나오고 팔꿈치가 아픈것도 아니도 손목이 아픈것도 아니고 손바닥과 손가락만 저림니다..

원인을 모르겠는데..목 쪽에 문제가 있을 시 손가락만 저리고 할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아니면 또 다른 원인이 뭐가 있을까요..?

회전근개쪽이랑 승모근 쪽도 좋지 않았었는데 이것들도 문제가 되는지 궁금합니다.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손가락 저림으로 걱정이 많으시겠네요. 6개월 동안 지속된 증상에 대해 여러 검사도 받으셨는데 원인을 찾지 못해 답답하실 마음 충분히 이해합니다. 현재 겪고 계신 증상과 병력, 검사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가능성을 생각해보고, 추가적으로 고려해볼 사항들을 말씀드리겠습니다. 1. 목(경추) 문제: * 가능성: 목 디스크나 경추 신경 압박은 특정 손가락의 저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특히 4, 5번째 손가락 저림은 C8 신경과 관련될 수 있습니다. * 증상: 목 통증이 동반되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 팔을 들어 올리거나 어깨를 특정 자세로 할 때 저림이 심해지는 것은 신경 압박을 시사할 수 있습니다. * 고려사항: * 정밀 검사: 경추 MRI를 통해 목 디스크나 신경 압박 여부를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근전도 검사에서 이상이 없더라도 MRI에서 신경 압박이 확인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 물리 치료: 목 주변 근육 강화 운동, 자세 교정 등을 통해 증상 완화를 시도해볼 수 있습니다. 2. 흉곽출구 증후군: * 가능성: 쇄골과 첫 번째 늑골 사이, 또는 목의 사각근 사이 공간에서 신경이나 혈관이 눌려 발생하는 질환입니다. 팔을 특정 위치로 움직일 때 증상이 악화될 수 있습니다. * 증상: 손, 팔 저림, 통증, 감각 이상, 팔의 쇠약감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고려사항: * 진단: 흉곽출구 증후군은 진단이 다소 어려울 수 있습니다. 이학적 검사(Adson test, Wright test 등)와 신경전도 검사, 혈관 검사 등을 통해 진단합니다. * 치료: 물리 치료, 자세 교정, 약물 치료, 심한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3. 회전근개/승모근 문제: * 가능성: 회전근개 파열이나 승모근 긴장은 직접적으로 손가락 저림을 유발하지는 않지만, 어깨 주변의 신경을 자극하여 간접적으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 고려사항: * 어깨/목 주변 근육 이완: 스트레칭, 마사지, 온찜질 등을 통해 근육 긴장을 완화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4. 기타: * 당뇨병: 당뇨병성 신경병증은 손발 저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혈당 검사를 통해 당뇨병 여부를 확인해보세요. * 갑상선 기능 저하증: 갑상선 호르몬 부족은 신경 기능을 저하시켜 저림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갑상선 기능 검사를 고려해보세요. * 비타민 B12 결핍: 비타민 B12는 신경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결핍 시 손발 저림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혈액 검사를 통해 확인해보세요. 병원 방문 시: * 정형외과/신경외과 전문의: 증상에 대한 자세한 설명과 함께 위에 언급된 가능성들을 제시하고, 필요한 검사를 요청해보세요. * 재활의학과 전문의: 통증 완화 및 기능 회복을 위한 운동 치료, 도수 치료 등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 자가 진단/치료 금지: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 후 진단 및 치료 계획을 세우세요. * 증상 악화 시 즉시 병원 방문: 갑작스러운 마비, 심한 통증, 감각 소실 등이 나타나면 즉시 응급실을 방문하세요. 예시: * "선생님, 4, 5번째 손가락 저림이 계속되는데, 팔을 들어 올리거나 어깨를 특정 자세로 할 때 심해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경추 MRI를 통해 목 디스크나 신경 압박 여부를 확인해주실 수 있을까요? 흉곽출구 증후군 가능성도 있는지 검토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Disclaimer: This information is for general knowledge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