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4-30 06:30:42

기립성저혈압

기립성 저혈압을 달고 산 지는

오래되었는데 요즘 들어 너무 심해져서요

누웠다 일어나면 앞이 안 보이고

머리가 왕왕거리서 서 있기 힘든데

비타민 또는 철분이 부족해서 그런 경우가 있나요?

원인이 뭔가요…?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기립성 저혈압 증상으로 불편함을 겪고 계시는군요. 누웠다 일어설 때 앞이 안 보이고 머리가 멍해지는 증상은 기립성 저혈압의 대표적인 증상입니다. 기립성 저혈압의 원인 기립성 저혈압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몇 가지 주요 원인을 설명해 드릴게요. 1. 체액 부족: 우리 몸에 수분이 부족하면 혈액량이 줄어들어 기립성 저혈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충분한 물을 마시지 않거나, 설사, 구토 등으로 체액이 손실되는 경우에 해당됩니다. * 예시: 운동 후 땀을 많이 흘렸는데 물을 충분히 마시지 않았을 때, 또는 더운 날씨에 장시간 야외활동을 했을 때. 2. 자율신경계 이상: 자율신경계는 혈압과 심박수를 조절하는 역할을 합니다. 자율신경계에 문제가 생기면 혈압 조절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기립성 저혈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예시: 당뇨병, 파킨슨병, 다계통 위축증과 같은 질환이 자율신경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3. 심혈관계 질환: 심장 기능이 저하되거나 혈관에 문제가 생기면 혈액을 효율적으로 순환시키기 어려워 기립성 저혈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예시: 심부전, 부정맥, 판막 질환 등이 있는 경우. 4. 약물: 특정 약물은 혈압을 낮추는 효과가 있어 기립성 저혈압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예시: 이뇨제, 혈압강하제, 항우울제, 전립선 비대증 치료제 등이 있습니다. 5. 영양 결핍: 비타민 B12, 엽산, 철분 등의 영양소가 부족하면 빈혈이 발생할 수 있고, 이는 기립성 저혈압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예시: 채식 위주의 식단을 하는 경우, 또는 위장 질환으로 인해 영양소 흡수가 잘 안 되는 경우. 6. 장시간 침상 생활: 오랫동안 누워있으면 혈액이 하체에 몰리게 되어 기립 시 혈압이 떨어질 수 있습니다. * 예시: 수술 후 회복 기간 동안 오랫동안 누워있거나, 만성 질환으로 인해 활동량이 적은 경우. 7. 기타: 노화, 임신, 유전적 요인 등도 기립성 저혈압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비타민 및 철분 부족과의 연관성 비타민 B12, 엽산, 철분 부족은 빈혈을 유발할 수 있으며, 빈혈은 기립성 저혈압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비타민이나 철분 부족이 기립성 저혈압의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기립성 저혈압의 원인이 매우 다양하므로 영양소 결핍 외 다른 원인도 고려해야 합니다. 대처 방법 1. 충분한 수분 섭취: 하루 1.5~2리터의 물을 꾸준히 마시는 것이 좋습니다. 2. 규칙적인 식사: 균형 잡힌 식단을 통해 영양소를 충분히 섭취하고, 특히 철분, 비타민 B12, 엽산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세요. 3. 천천히 일어나기: 누워있거나 앉아있을 때 갑자기 일어나지 말고, 천천히 일어나세요. 4. 압박 스타킹 착용: 다리에 압박 스타킹을 착용하면 혈액이 하체에 몰리는 것을 방지하여 혈압 유지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5. 규칙적인 운동: 꾸준한 운동은 혈액순환을 개선하고 혈압 조절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병원 방문 기립성 저혈압 증상이 심해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정도라면,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의와 상담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