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5-04 07:55:47

질문신장물혹 문의

이번 건강검진을 했고 대학병원진료때문에 소견서 등등 받았습니다. 사진은 조영제 없는 복부씨티 결과인데 영상의학과 판독소견인데 질문드립니다. 


제 해석상 석회화를 동반한 낭종, 복합성낭종 의심 맞는지요?

그냥 석회화가 있다는건지, 격벽이 있다는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정확한 해석좀 부탁드립니다.

신장낭종에서 석회화만 있을경우 와 

격벽이 있을 경우 어느쪽의 악성 위험도가 더 큰가요?


우신장4센티 물혹이 있는건 알고있었는데
건강검진 종합소견에는 복합낭종이란 말은없고 조영제 사용하지않은 CT로는 낭종관찰에 제한이 있다
초음파나 CT로 추적해라 이렇게만 되어있습니다.

나중에 영상의학과 소견(사진)을 우연히 보게되었는데
저렇게 석회화 소견도있는데 왜 종합소견에는 그런말이 없고 추적만하라고 되어있을까요?

복합낭종은 심각한것 아닌가요?

전문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ㅠ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건강검진 결과에 대한 문의 주셨네요. 제가 CT 판독 소견을 바탕으로 궁금하신 점들을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1. 판독 소견 해석 * 석회화를 동반한 낭종, 복합성 낭종 의심: 영상의학과 판독 소견은 신장 낭종 내부에 석회화(칼슘 침착)가 있고, 낭종의 형태가 단순하지 않고 복잡할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 석회화 유무, 격벽 유무: 판독 소견만으로는 석회화만 있는지, 격벽(낭종 내부를 나누는 벽)이 있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추가적인 영상 검사(조영 증강 CT, MRI 등)를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2. 악성 위험도 * 석회화만 있는 경우 vs. 격벽이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격벽이 있는 복합 낭종이 석회화만 있는 낭종보다 악성 위험도가 더 높습니다. 격벽은 낭종 내부의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증식하여 생길 수 있으며, 이는 암세포의 성장과 관련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단순 낭종: 얇은 막으로 둘러싸인 물혹으로, 내부에 격벽이나 석회화가 없고 균일한 액체로 채워져 있습니다. 악성 가능성이 매우 낮습니다. (예시: 콩알만 한 물풍선) * 복합 낭종: 낭종 벽이 두껍거나, 내부에 격벽이 있거나, 석회화가 동반된 경우입니다. 악성 가능성이 단순 낭종보다 높으며, 추가 검사를 통해 감별해야 합니다. (예시: 물풍선 안에 칸막이가 있거나, 벽에 딱딱한 물질이 붙어 있는 경우) 3. 종합 소견과 판독 소견의 차이 * 종합 소견에 석회화 언급이 없는 이유: 건강검진 종합 소견은 여러 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간단하게 요약한 것입니다.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은 CT는 낭종 관찰에 제한이 있으므로, 석회화 소견을 명확하게 판단하기 어려워 추적 관찰을 권고했을 수 있습니다. * 복합 낭종의 심각성: 복합 낭종은 단순 낭종보다 악성 가능성이 높지만, 반드시 암을 의미하는 것은 아닙니다. 대부분의 복합 낭종은 양성이며, 정기적인 추적 관찰을 통해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4. 추가 조치 * 전문의 상담: 대학병원 진료를 예약하신 것은 매우 적절한 조치입니다. 전문의와 상담하여 추가 검사(조영 증강 CT, MRI 등) 필요성을 결정하고, 낭종의 정확한 상태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정기적인 추적 관찰: 복합 낭종으로 진단받은 경우, 낭종의 크기, 형태 변화를 확인하기 위해 정기적인 영상 검사(초음파, CT)를 받아야 합니다. 검사 간격은 전문의와 상담하여 결정합니다. 5. 추가적으로 궁금한점 * 대학병원에 CT 필름 등 영상자료를 지참하시면 진료에 도움이 될 것입니다. * 과거 건강검진 자료가 있다면 낭종의 변화 추이를 확인하는데 도움이 됩니다. 주의: 위 내용은 일반적인 의학 정보에 기반한 것이며, 환자분의 구체적인 상태에 대한 진단은 전문의의 진찰과 검사를 통해 이루어져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