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7-03 07:31:33

어금니 크라운 본드..?

이거 혹시 본드인가요.. 붙인지 9개월? 8개월 정도 지났고 유지장치 착용중인데

혹시 이거 어금니 잇몸이 내려간건가요.. 아니면 크라운이 움직인건가요

혹시 큰 문제일까요? 다시 붙였다가 해야할까요.. 다시 새로 해야할까요 … 100만원 들엿는데…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어금니 크라운 주변의 문제로 걱정이 많으시겠네요. 사진과 함께 자세한 설명을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1. 크라운 주변의 검은 선: * 본드 여부: 크라운을 접착할 때 사용하는 레진 시멘트(본딩제)는 시간이 지나면서 변색될 수 있습니다. 특히 유지 관리가 소홀하거나, 음식물 섭취, 흡연 등으로 인해 착색될 가능성이 큽니다. 사진 상으로 보이는 검은 선이 변색된 레진 시멘트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 잇몸 내려감 또는 크라운 움직임: 잇몸이 내려가거나 크라운이 움직였다면 크라운과 치아 사이에 틈이 생겨 검은 선처럼 보일 수 있습니다. 9개월 전에 100만원 들여서 하셨는데, 적절한 관리가 필요합니다. 2. 문제의 심각성: * 초기 관리의 중요성: 9개월 전에 크라운을 하셨다면 초기 관리가 중요합니다. * 정확한 진단 필요: 사진만으로는 정확한 판단이 어렵습니다. 치과에 방문하여 다음과 같은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 시진: 의사 선생님이 직접 눈으로 크라운 주변 잇몸 상태, 크라운의 적합도 등을 확인합니다. * 방사선 촬영: X-ray 촬영을 통해 크라운과 치아 사이의 틈, 잇몸뼈 상태 등을 확인합니다. * 탐침 검사: 탐침이라는 기구를 사용하여 크라운 주변의 틈새를 확인하고, 충치 여부를 확인합니다. 3. 치료 방법: * 재부착: 크라운과 치아 사이에 틈이 크지 않고, 충치가 없다면 다시 접착하는 것으로 해결될 수 있습니다. * 재제작: 크라운이 손상되었거나, 틈이 너무 커서 재접착이 어렵다면 크라운을 새로 제작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잇몸 치료: 잇몸이 내려간 것이 원인이라면 잇몸 치료를 병행해야 합니다. * 유지장치 점검: 유지장치가 크라운에 영향을 주고 있다면, 유지장치 조절도 필요할 수 있습니다. 4. 추가 조언: * 정기 검진: 크라운 치료 후에는 정기적인 치과 검진을 통해 크라운 상태를 점검하고, 필요한 관리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올바른 칫솔질: 크라운 주변을 꼼꼼하게 칫솔질하여 음식물 찌꺼기가 남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치실이나 치간 칫솔을 사용하여 치아 사이의 이물질도 제거하는 것이 좋습니다. * 식이 습관: 너무 딱딱하거나 끈적이는 음식은 크라운에 무리를 줄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유지장치 관리: 유지장치를 청결하게 유지하고, 치과에서 정기적으로 점검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요약: 크라운 주변의 검은 선은 변색된 레진 시멘트일 가능성이 있지만, 잇몸 내려감이나 크라운 움직임이 원인일 수도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을 위해 치과에 방문하여 검사를 받아보시고, 적절한 치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