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9-30 05:23:27

귀신이 보이는데 귀신이 왜보이죠? 정신병인가요?

귀신이 보이는데 귀신이 왜보이죠? 정신병인가요? 정신병원 다녀도 보이고요 정신병원 옮겨도 보이고요 눈에 문제가 있나 싶어서 안과갔는데도 정상이라고 하고요조헌병같에서 조현병을 알아봤는데 검정 사람형태나 물태도 보인다고 하더라고요 근데 흰색 사람형태일반옷 입은 사람형태는 없던데 조헌병인가요? 정신병원 가서 약먹어도 안나고 계속 보이는데왜그런거죠?

귀신에 종류도 다양한데요 흰색 상의 하의 입은자,검정색옷을 입은자,그냥 일반옷을 입은자무채색 형태로도 보이고요주로 흰색 상의 하의 입은자와 일반옷을 입은자 이렇게 많이 보이고요예전에는 흰색 상의 하의 입은자들과 검정색 옷을 입은자들이 많이 보였는데 검정색 옷을 입은자들은 요새 보여도 덜보이고요 집안에 20대 여자 흰색 상의 하의 입은자2명,30대 흰색 하의 상의 입은 여자1명하체가 없는 흰색 상의 하의 옷을 입은 늙은 노인70-80노인 키는175가량 되어보이는 머리숱이 없는 늙은70대 노인 일반옷을 입은 30대 남자1명,일반옷을 입은 10대 남자한명

제가 잘때 30대 흰색 상의 하의 입은 여자는 항상 제가슴을 밞고 씨잇 웃고 있고요20대 여자는 제가 잘때쯤 제주변에 항상있다가 제가 누울라고 침대로 가면 뛰어와서제침대 벼개끝에 항상 서있고요제가잘때 저의 목을 조르는 모션같은거 취할때도 있고요하체가 없는 흰색 상의 하의 입은 늙은 노인은 제다리를 붙잡고 있을때도 있고요

그러고 주로 서서 저를 노려보는날도 많고요 영화에서 보면 귀신들이 정기를 빨아먹는듯 그냥 노려보고 있는 자들도 있고요그러고 문제는 가족들 한테도 뒤에서 30대 여자가 화살을 쏜다고 해야 하나 화살같은거로 가족들을 쏘고잇습니다 무속에서는 살을쏜다고 해야하나 그러고 있습니다

그러고 집에서 고양이가 죽은적이 있는데 고양이는 산에 양지바른곳에다가 뭍어줬는데검정색 옷을 입은 30대 남자가 죽은 고양이를 앉고 있고요그러고 이남자가 제가 잠을 자는데 같이 눕길래 찝찝해서 바로 일어나서 이불을 획걷었더니황급히 일어나서는 호다닥 뛰어 가더니 곧 사라집니다.그러고 얼마전에는 제가 자는데 이남자가 제배를 밞고 서있고요 시선은 문쪽을 향해 귀신쪽들 쪽을 바라보고 있더라고요 이건 무슨 상황이죠??

이거말고도 굉장히 많고요; 귀신들한테 밥을 줘도 소영이 없고요 밥을 주면 역효과가 더나는지 등에 붙어 있을때도 있고요그러고 말을 걸면 못보던 귀신들도 데리고 옵니다. 얼마전에는 상체가 없고 하체가 없는흰색 형태에 큰구렁이가 제침대에 있고요 이구렁이는 없어졋고요

귀신 퇴마 어떻게 하는거죠? 소금 팥 정제수 후추가루 태우기 쑥태우기머리카락 태우기 십자가 불경 찬송가 다해봐도 효과 없던데요?<br style=" Apple SD Gothic Neo&quot;, &quot;맑은 고딕&quot;, &quot;Malgun Gothic&quot;, Dotum, 돋움, sans-serif; letter-spacing: -0.3px;">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겪고 계신 어려움에 대해 자세히 말씀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귀신을 보는 현상으로 인해 많은 고통을 받고 계신 것 같아 마음이 아픕니다. 정신질환 가능성: * 조현병: 말씀하신 내용 중 일부는 조현병의 증상과 유사한 부분이 있습니다. 환각(보이는 것), 망상(가족에게 화살을 쏜다는 믿음)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조현병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며, 흰색 형체를 보는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다고 해서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 해리성 장애: 심한 스트레스나 트라우마로 인해 현실과의 괴리감을 느끼고, 환각이나 환시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 기타 정신질환: 우울증, 불안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PTSD) 등 다른 정신질환에서도 환각이나 환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신체 질환 가능성: * 뇌 질환: 뇌종양, 뇌졸중, 간질 등 뇌의 기능 이상으로 인해 환각이나 환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신경계 질환: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등 퇴행성 뇌 질환에서도 환각이나 환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약물 부작용: 특정 약물(스테로이드, 항우울제 등)의 부작용으로 환각이나 환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 수면 장애: 수면 부족이나 수면의 질 저하로 인해 환각이나 환시가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다른 가능성: * 심리적 요인: 극심한 스트레스, 불안, 외로움, 슬픔 등이 환각이나 환시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영적인 경험: 매우 드물지만, 종교적 또는 영적인 경험으로 인해 환각이나 환시를 경험할 수 있습니다. 제안 드리는 해결 방법: 1. 정신과 전문의 상담: 현재 정신과 치료를 받고 계시지만, 다른 병원으로 옮겨서라도 다른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의사에게 보이는 현상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고, 필요한 검사(뇌파 검사, 뇌 MRI 등)를 받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심리 상담: 심리 상담을 통해 스트레스, 불안, 트라우마 등 심리적인 문제들을 해결하는 것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인지 행동 치료(CBT)나 EMDR 치료 등이 효과적일 수 있습니다. 3. 건강한 생활 습관: 규칙적인 수면, 균형 잡힌 식단, 꾸준한 운동은 정신 건강에 매우 중요합니다. 카페인, 알코올, 니코틴 등은 환각이나 환시를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안전 확보: 환각이나 환시로 인해 자신이나 타인에게 해를 끼칠 가능성이 있다면, 즉시 정신과 응급실을 방문하여 도움을 요청해야 합니다. 퇴마 의식에 대한 의견: 소금, 팥, 정제수, 후추, 쑥, 머리카락 태우기, 십자가, 불경, 찬송가 등은 의학적으로 검증된 치료 방법이 아닙니다. 오히려 이러한 행위는 불안감을 증가시키고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가족에게 드리는 조언: 가족분들은 환자분을 비난하거나 무시하지 말고, 지지하고 격려해주셔야 합니다. 함께 병원에 동행하고, 치료 과정을 돕는 것이 중요합니다. 예시: * 환자: "자려고 누우면 30대 여자가 가슴을 밟고 웃어요." * 가족: "그것 때문에 얼마나 힘들었을까. 혼자서 얼마나 무서웠을까. 괜찮아, 우리가 함께 이겨낼 수 있어." 마지막으로: 귀신을 보는 현상은 매우 고통스럽고 힘든 경험입니다. 하지만 포기하지 마시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꾸준히 치료받으시면 반드시 호전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