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10-01 09:19:05

유체이탈을 경험한것 같아요.

제가 장염에 걸려서 병원에갔다가 약을 먹고 오후 1시 쯤에 피곤해서 낮잠을 잤거든요? 그리고 꿈을 꿨는데 일단 앞부분은 평범한 꿈얘기여서 생략하고 유체이탈 느끼는 순간만 말하자면. 제가 사탕을 옆자리 친구한테 던져준다는것을 그만 너무 멀리 던저버려서 주우러갔다 다시 돌아오는데 제 자리에 어떤 여자애가 절보고 웃으면서 비스듬하게 앉아있는겁니다. 근데 그 애의 얼굴이 어딘가 낯이읶어(뭔가 본능적으로 최근에 나와 사귀었거나 관심있었던 이성들의 얼굴을 섞은 느낌?) 그래서 아 이게 내 경험을 기반으로 펼처지는 꿈이라는 것을 인식하게되었고 그렇게 꿈에서 깼습니다. 그럼 이제 일어나면 되는거잖아요? 눈앞에선 선명하게 오후 햇살이 들어오고 제방의 모습이 흐릿흐릿하게 보이는데 사실 제가 자각몽에 큰 관심이있었어요. 그래서 막 자각몽 꾸는법 검색도 해보고 그랬거든요? 근데 한동안 못하다 포기했었죠. 근데 거기서 순간적으로 지금이 내가 하지 못했던 자각몽을 꿀수있는 기회라는 생각이 들어서 이건 꿈이다 꿈이다를 스스로 외쳤습니다. (그 때가 여자애가 나를 올려다보며 웃고있는 즉 꿈에서 현실로 넘어가는 딱 그 순간에)

근데 그 순간 귀가 멍멍거리고 (수영장에서 귀에 물들어갈 때 그 먹먹한 느낌?) 화면이 막 뒤틀리더니 내 육체 몸은 그대로 있는데 내 시선(정신)이 조금씩 오른쪽으로 이동하는거에요. 그니까 3인칭에서 나를 바라보게되는 느낌? 근데 이게 단순 환각이 아니라고 느껴지는게 그런 느낌이 진행되다 좀 무섭기도 하고 자고일어나서 할일도 많아서 다시 정신을 도로 집어넣는 와중에 또 호기심(그래도 몇달동안 해보고싶던 자각몽인데) 때문에 다시 정신을 빼고 이짓거리를 몇번 반복하다가 뭔가 이상한거에요. 아니 자각몽이면 내가 이게 꿈이란것을 인식한 상태로 시점은 1인칭으로 있는건데 이건 내 몸과 정신이 분리되는건데 그러면 자각몽이 아니라 유체이탈 같은 다른행위? 라는 생각이들어서 다시 정신을 집어넣고 그 상태에거 깼거든요.. 깨고나니까 기분이 찝찝하네요. 대체 뭘까요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겪으신 내용이 꽤나 특이하고 찝찝하게 느껴지실 것 같습니다. 말씀해주신 내용을 바탕으로 몇 가지 가능성과 조언을 드려볼게요. 1. 수면 마비 (Sleep Paralysis) 가능성: * 정의: 잠이 들거나 깰 때 의식은 깨어있지만 몸은 움직일 수 없는 상태를 말합니다. 이때 환각이나 환청을 경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증상: * 몸이 마비된 느낌 * 가슴 답답함, 숨쉬기 어려움 * 환각 (악몽, 공포스러운 존재가 보이는 등) * 귀에서 윙윙거리는 소리 * 설명: 겪으신 '귀가 멍멍거리고 화면이 뒤틀리는' 느낌, 몸은 그대로 있는데 시선(정신)이 이동하는 느낌이 수면 마비와 유사합니다. 자각몽에 대한 관심이 높았던 점, 장염 약 복용 후 피로한 상태에서 낮잠을 잔 점 등이 수면 마비를 유발했을 수 있습니다. 2. 자각몽 (Lucid Dreaming)과 혼합된 경험: * 정의: 꿈을 꾸는 도중 자신이 꿈을 꾸고 있다는 것을 자각하는 꿈입니다. * 설명: 자각몽을 꾸는 과정에서 현실과 꿈의 경계가 모호해지면서 특이한 감각 경험을 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자각몽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이건 꿈이다'라고 반복적으로 외치는 행위가 뇌를 자극하여 평소와 다른 형태의 꿈을 꾸게 만들 수 있습니다. * 가능성: 자각몽을 꾸려는 의도 + 수면 마비 증상 + 장염 약의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유체이탈'과 유사한 경험을 하셨을 수 있습니다. 3. 약물 부작용: * 설명: 장염으로 복용하신 약의 성분 중 일부가 수면 중 뇌에 영향을 미쳐 환각이나 이상 감각을 유발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4. 심리적 요인: * 설명: 최근 심리적으로 불안하거나 스트레스가 많았다면 이러한 경험을 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찝찝함을 해소하기 위한 조언: * 수면 환경 점검: 침실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하고, 소음이나 빛을 최대한 차단하여 편안한 수면 환경을 조성하세요. * 규칙적인 수면 습관: 매일 같은 시간에 잠자리에 들고 일어나는 규칙적인 습관을 들이세요. *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 해소를 위해 가벼운 운동, 명상, 취미 활동 등을 꾸준히 하세요. * 약물 확인: 복용 중인 약물의 부작용 정보를 확인하고, 의사 또는 약사와 상담하여 약물 변경 여부를 논의해 보세요. * 수면 일기: 며칠 동안 수면 일기를 작성하여 수면 패턴과 꿈 내용을 기록해 보세요. 이를 통해 경험의 원인을 파악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정신 건강 전문가 상담: 만약 이러한 경험이 반복되거나 일상생활에 지장을 준다면, 정신 건강 전문가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중요: 위에 제시된 내용은 일반적인 의학 정보이며,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반드시 의료 전문가와 상담을 통해 결정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