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9-10 00:40:05

버스 급정거로 인한 사고

출근 중 버스에서 내리려고 계단을 내려가는 와중 버스가 급정거를 하여 계단 하나를 남겨둔 상태에서 미끄러져서있던 남성분과 부딪히면서무릎이 찍히고 손목이 꺾이며 당일엔 멀쩡하다 무릎에 멍들고 손에 힘이 들어가지 않는 상태고팔이 안올라가고 통증이 있는데이건 보상이 되는건가요?

(버스 차량 번호 모름, 기사 대처 없었음, 버스와 시간대만 기억남)

A
Dr.s Diagnosis
## 버스 급정거 사고에 대한 의료적 조언 및 보상 가능성 1. 현재 상태에 대한 의료적 평가 * 무릎: 멍이 들었다는 것은 피부 아래 혈관이 손상되었다는 의미입니다. 하지만 멍의 크기, 통증 정도, 무릎 관절의 움직임 제한 여부에 따라 단순 타박상인지, 인대 손상이나 골절이 동반되었는지 감별해야 합니다. * 예시: 멍이 작고 통증이 경미하며 무릎 움직임에 불편함이 없다면 냉찜질과 휴식으로 호전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멍이 크고 통증이 심하며 걷거나 계단을 오르내리기 힘들다면 병원에서 X-ray 촬영 등을 통해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 손목: 손에 힘이 들어가지 않는다는 것은 손목 관절이나 주변 근육, 신경에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꺾인 정도와 통증 부위에 따라 염좌, 인대 손상, 골절 등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 예시: 손목을 움직일 때마다 통증이 심하고 붓기가 있다면 손목 염좌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손목뼈 부위를 눌렀을 때 극심한 통증이 느껴진다면 골절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 팔: 팔이 올라가지 않고 통증이 있다는 것은 어깨 관절, 근육, 인대 등에 문제가 생겼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급정거 시 넘어지면서 어깨에 무리가 갔을 수 있습니다. * 예시: 팔을 특정 각도로 들어 올릴 때만 통증이 느껴진다면 회전근개 손상이나 충돌 증후군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팔을 전혀 올릴 수 없고 통증이 심하다면 어깨 탈구나 골절 가능성도 고려해야 합니다. 2. 추가적으로 확인해야 할 사항 * 사고 당시 상황: 사고 당시 충격 정도, 넘어질 때 자세, 부딪힌 부위 등을 자세히 기억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 과거 병력: 과거에 무릎, 손목, 어깨 등에 질환이 있었거나 다친 적이 있다면 현재 증상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 현재 복용 중인 약: 특정 약물은 출혈 경향을 높여 멍이 더 심하게 들게 할 수 있습니다. 3. 보상 가능성 버스 급정거로 인해 발생한 사고는 버스 회사의 과실로 인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보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치료비: 병원 진료비, 약제비, 물리치료비 등 사고로 인해 발생한 모든 치료비 * 휴업 손해: 사고로 인해 일을 하지 못하게 되어 발생한 수입 감소분 * 위자료: 사고로 인해 입은 정신적 고통에 대한 배상금 4. 보상 절차 1. 사고 접수: 버스 회사에 사고 사실을 알리고 보험 접수를 요청합니다. 버스 번호와 시간대를 기억하고 있다면 사고 접수에 도움이 됩니다. 2. 진단서 발급: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사고로 인해 발생한 상해에 대한 진단서를 발급받습니다. 3. 보험사 제출: 진단서, 치료비 영수증, 휴업 손해 증빙자료 등을 보험사에 제출합니다. 4. 합의 또는 소송: 보험사와 보상금액에 대해 합의하거나,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 소송을 통해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5. 중요한 참고사항 * 초기 대응: 사고 직후에는 통증이 느껴지지 않더라도 시간이 지나면서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사고 직후 가능한 한 빨리 병원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증거 확보: 사고 상황을 입증할 수 있는 증거(사진, 목격자 진술 등)를 확보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 전문가 도움: 보상 절차가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으므로, 변호사나 손해사정사와 같은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Disclaimer: 이 정보는 일반적인 지침일 뿐이며 전문적인 의학적 조언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됩니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