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7-01 10:33:04

임신이 안돼요

출산 두번에 유산 한번인데

21년도 5월에 셋째 유산 후

22년도 10월부터 다시 임신시도 했는데

안생겨서 23년도 9월부터 병원가서 배란유도제랑

난포주사맞으면서 준비했는데도 안생김..

7개윌 8개월정도 해도 안되고 남편도 객지생활 중이라 병원 안다니고 피임없이 부부관계.

더늦기전에 셋째 갖고싶어서 병원 다시 다닌지 4개월?5개월정도 됐는데 정말 임신이 안되네요..

나이는 만35세에요

임신 세번 다 배란일 체크없이 한번에 다 됐고

셋째는 11주쯤 유산됐어요

23년도에 검사했을때 병원에서 다 좋다고 하셨고

자궁나이는 20대초반으로 나오긴 했어서 .. 너무 젊게 나오는것도 안좋다고는 하더라구요ㅠ

셋째 간절한데 왜이렇게 안생기는걸까요

첫째 17년도 출산 둘째 19년도 출산했습니당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임신을 간절히 원하시는 마음이 느껴집니다. 2021년 유산 후 임신 시도에 어려움을 겪고 계시는군요. 만 35세이시고, 과거 출산 경험도 있으시지만, 현재 상황에 대한 몇 가지 가능한 원인과 추가적인 검사/관리 방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1. 난임의 가능성: * 정의: 일반적으로 1년 이상 피임 없이 정상적인 부부 관계를 가졌음에도 임신이 되지 않는 경우를 난임이라고 합니다. 질문자님의 경우 2022년 10월부터 시도하셨으니, 난임에 해당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 원인: 난임의 원인은 매우 다양하며, 여성 요인, 남성 요인, 또는 복합적인 요인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여성 요인: 배란 장애 (다낭성 난소 증후군 등), 난관 폐쇄, 자궁 내막증, 자궁 근종, 자궁 내막 폴립 등이 있습니다. * 남성 요인: 정자 수 부족, 정자 운동성 저하, 정자 기형 등이 있습니다. * 원인 불명: 검사 상 특별한 이상이 발견되지 않는 경우도 있습니다. * 과거 유산 경험: 과거 유산 경험은 자궁 내막에 영향을 줄 수 있으며, 이는 착상에 어려움을 줄 수 있습니다. 2. 배란 유도제와 난포 주사: * 배란 유도제와 난포 주사는 배란을 촉진하여 임신 가능성을 높이는 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하지만 모든 경우에 효과적인 것은 아니며, 개인에 따라 반응이 다를 수 있습니다. * 배란 유도제 부작용: 다태 임신 가능성 증가, 난소 과자극 증후군 등의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 난포 주사 부작용: 주사 부위 통증, 알레르기 반응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남편 요인 검사의 필요성: * 남편분이 객지 생활 중이시라 병원 방문이 어렵다고 하셨지만, 남성 요인 검사는 매우 중요합니다. 정액 검사를 통해 정자 수, 운동성, 기형 여부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최근에는 자가 정액 채취 키트를 이용하여 집에서 정액을 채취한 후 병원으로 보내 검사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남편분과 상의하여 이 방법을 고려해 보시는 것도 좋겠습니다. 4. 추가적인 검사: * 호르몬 검사: 난포 자극 호르몬 (FSH), 황체 형성 호르몬 (LH), 에스트라디올 (E2), 프로게스테론 등의 호르몬 수치를 측정하여 배란 기능에 이상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 자궁 난관 조영술: 난관이 막히지 않았는지 확인하는 검사입니다. * 자궁 내시경: 자궁 내막의 상태를 직접 확인하고 폴립, 근종 등의 이상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 항뮬러관 호르몬 (AMH) 검사: 난소 나이를 간접적으로 측정하는 검사입니다. 자궁 나이가 20대 초반으로 나오셨다고 하셨지만, AMH 수치를 통해 보다 정확한 난소 기능을 평가할 수 있습니다. 5. 기타 고려 사항: * 생활 습관: 건강한 식단, 규칙적인 운동, 충분한 수면은 임신에 도움이 됩니다. 흡연과 과도한 음주는 피해야 합니다. *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는 호르몬 불균형을 유발하여 임신에 부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명상, 요가, 취미 활동 등을 통해 스트레스를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 체중 관리: 과체중이나 저체중은 배란 장애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적절한 체중을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결론: 현재 상황에서는 남편분의 정액 검사를 포함한 추가적인 검사를 통해 정확한 원인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한, 생활 습관 개선과 스트레스 관리를 통해 임신 가능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가능하다면 난임 전문 병원을 방문하여 전문적인 상담을 받아보시는 것을 권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