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7-04 13:18:13

이런 상태의 만38세 출산 많이 위험할까요?

물론 건강하게 출산하기도 하지만

임신전부터 걱정이 많아요.

  1. 난소나이: 25

  2. Amh : 5.51

  3. 자궁 난소초음파 이상없음

  4. 2020년 1월 자연분만 출산 , 임신중 산후 이벤트없음

  5. 고혈압 당뇨 갑상선이상 등 기저질환 없음

콜레스테롤 수치는 높음

노산인데 문제있을 가능성 있을까요?ㅠㅠ

  1. 그리고 취약x증후군 검사는 정확도가 높나요?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38세 출산을 앞두고 걱정이 많으신 것 같아, 몇 가지 궁금한 점에 대해 자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1. 38세 출산의 위험성: * 일반적인 위험도: 35세 이상을 '고령 임신'이라고 부르긴 하지만, 38세는 건강 관리를 잘 한다면 충분히 건강하게 출산할 수 있는 나이입니다. 다만, 젊은 나이에 비해 임신성 당뇨, 고혈압, 조산 등의 위험이 약간 증가할 수 있습니다. * 개인적인 상황: * 난소 나이와 AMH 수치: 25세의 난소 나이와 5.51의 AMH 수치는 매우 긍정적인 신호입니다. 이는 난소 기능이 좋고, 난자 수도 충분하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 자궁/난소 초음파: 이상이 없다는 결과 또한 좋은 소식입니다. * 과거 출산 경험: 2020년에 자연분만으로 건강하게 출산한 경험이 있다는 점도 긍정적입니다. 임신 중이나 산후에 특별한 문제가 없었다는 것은 신체적으로 임신과 출산에 잘 적응할 수 있다는 의미입니다. * 기저 질환: 고혈압, 당뇨, 갑상선 질환이 없다는 점은 매우 좋습니다. * 콜레스테롤: 콜레스테롤 수치가 높다는 점은 주의해야 합니다. 임신 전부터 식단 관리와 운동을 통해 콜레스테롤 수치를 조절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필요하다면 의사와 상담하여 약물 치료를 고려할 수도 있습니다. 2. 취약 X 증후군 검사 정확도: * 높은 정확도: 취약 X 증후군 검사는 DNA 검사이기 때문에 정확도가 매우 높은 편입니다. 하지만 드물게 위음성(실제로는 보인자인데 검사 결과가 음성으로 나오는 경우)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검사 종류: * PCR 검사: 가장 일반적인 검사 방법으로, 정확도가 높습니다. * Southern blot 검사: PCR 검사로 확인되지 않는 특이한 유형의 변이를 확인하는 데 사용될 수 있습니다. * 검사 시기: 임신 전 또는 임신 초기에 검사를 받을 수 있습니다. * 결과 해석: 검사 결과가 양성으로 나오면 유전 상담을 통해 추가적인 정보를 얻고, 필요한 경우 산전 진단(양수 검사 등)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결론 및 조언: 전반적으로 볼 때, 난소 기능이 좋고 기저 질환이 없으며 과거 출산 경험도 있으므로 38세 출산에 큰 문제가 있을 가능성은 낮습니다. 다만, 콜레스테롤 수치를 관리하고, 임신 전후로 건강 관리에 신경 쓰는 것이 중요합니다. 취약 X 증후군 검사는 정확도가 높은 편이므로,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검사를 받아보는 것도 좋은 선택입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개인적인 상황에 맞는 맞춤형 계획을 세우는 것입니다. 임신 전 검사를 통해 건강 상태를 확인하고, 필요한 예방 접종을 받으세요. 임신 후에는 정기적인 산전 진찰을 통해 아기와 산모의 건강을 꼼꼼히 관리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