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9-03 10:07:40

헌법재판소에서기소유예처분취소인용되면기소유예보다안좋게결정될수있나요?

내가 나쁜 사기꾼한테 억울하게 고소를 당해서 내가 피고소인 입장에서 헌법재판소에 기소유예처분 취소 청구를 했어요. 근데 헌법재판소에서 기소유예 처분 취소 헌법소원 청구한 것이 인용이 되면 기소유예 보다 안 좋게 결정 될 수 있나요? 아니면 안 좋게 결정 안 되고 무죄나 무혐의로 결정 되는 건가요? 헌법재판소에서 기소유예 처분 취소 헌법소원 청구한 것이 인용이 되면 어떻게 진행이 되는 건가요?

그리고 헌법재판소에서 기소유예 처분 취소 헌법소원 청구한 것이 기각돼서 재심 청구를 했는데 재심 사유에 해당이 안 된다면서 어제 각하됐는데 다시 두 번째로 재심 청구 할 수 있나요? 만약 된다면 두 번째로 재심 청구하는 것도 각하된 것을 안 날로 부터 30일 이내에 두 번째로 재심 청구할 수 있나요? 헌법재판소에서 기각이나 각하 됐을 때 재심 청구는 몇 번까지 할 수 있나요?

그리고 헌법재판소에 헌법소원 청구할 수 있는 기간을 계산할 때 초일불산입을 적용해서 계산하는 거 맞나요?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억울한 상황에 처해 마음고생이 심하실 것 같습니다. 헌법재판소 관련 질문에 대해 최대한 자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1. 헌법재판소 기소유예 처분 취소 인용 시 결과: 헌법재판소에서 기소유예 처분 취소 결정이 인용되면, 단순히 기소유예 상태가 유지되는 것보다 불리해질 가능성은 낮습니다. 헌법재판소의 인용 결정은 해당 기소유예 처분이 헌법상 기본권을 침해했다는 의미이므로, 다음과 같은 절차가 진행됩니다. * 검찰의 재기수사: 헌법재판소 결정에 따라 검찰은 해당 사건을 다시 수사해야 합니다. * 무혐의 또는 공소권 없음 가능성: 재수사 결과, 새로운 증거가 나오지 않는다면 무혐의 또는 공소권 없음 처분이 내려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 기소 가능성: 드물게 검찰이 재수사 후 기소를 결정할 수도 있지만, 헌법재판소의 인용 결정이 있었던 사안이므로 법원에서 무죄 판결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예시: 만약 A씨가 B씨를 폭행했다는 혐의로 기소유예 처분을 받았는데, 헌법재판소에서 A씨의 헌법소원이 인용되었다면, 검찰은 다시 수사해야 합니다. 만약 B씨의 진술 외에 다른 증거가 없다면, A씨는 무혐의 처분을 받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2. 재심 청구 관련: 헌법재판소 결정에 대한 재심 청구는 법률에 명확히 규정되어 있지 않지만,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원칙이 적용됩니다. * 재심 사유 제한: 헌법재판소법에는 재심에 대한 명시적인 규정이 없으나, 통상적으로 민사소송법 또는 형사소송법의 재심 사유에 준하여 판단합니다. 따라서 재심 사유에 해당하지 않으면 각하될 수 있습니다. * 재심 횟수 제한: 재심 청구 횟수에 대한 명시적인 제한은 없지만, 재심 사유가 동일하거나 새로운 사유가 없는 경우에는 반복적인 재심 청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재심 청구 기간: 재심 청구 기간은 재심 사유를 안 날로부터 30일 이내에 청구해야 합니다. 다만, 헌법재판소의 경우, 이 기간이 엄격하게 적용되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예시: 헌법재판소에서 A씨의 헌법소원 사건이 기각되었는데, A씨가 새로운 증거를 발견하여 재심을 청구했지만, 헌법재판소가 그 증거가 재심 사유에 해당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각하했다면, 동일한 증거로는 다시 재심 청구를 하더라도 받아들여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3. 헌법소원 청구 기간 계산: 헌법소원 청구 기간을 계산할 때 초일불산입 원칙이 적용됩니다. 즉, 청구 사유가 발생한 날(기산일)은 계산에 넣지 않고, 그 다음 날부터 계산합니다. 예시: 만약 A씨가 2024년 5월 1일에 기본권 침해를 알게 되었다면, 헌법소원 청구 기간은 2024년 5월 2일부터 계산됩니다. 헌법소원 청구 기간은 원칙적으로 90일 이내이므로, A씨는 2024년 7월 30일까지 헌법소원을 청구해야 합니다. (단, 공휴일 등으로 인해 기간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 본 답변은 일반적인 법률 지식을 바탕으로 제공된 정보이며, 구체적인 사안에 대한 법적 판단은 변호사와 상담하여 결정하시기 바랍니다. * 헌법재판소 절차는 복잡하고 어려울 수 있으므로,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힘든 시간을 보내고 계신 점에 대해 위로를 드립니다. 부디 현명하게 대처하셔서 좋은 결과를 얻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