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5-02 09:02:21군인 수술 청원휴가
군대에서 병사인 친구가 수술로 인한 청원휴가 10일을 받았구
20일을 추가로 받으려고 국군 병원에 진단서와 입원 확인서,수술확인서를 보내 20일을 추가로 승인 됐습니다
진단서에 내용은 4주간 안전가료가 필요하다고 하였습니다
여기서 궁금한 점은 꼭 입원을 해 있어야 하나요 ?
이미 서류 제출은 다 한 상황이라 복귀 할 때 다른 서류는 필요 없다고 하네요 통원치료를 하고 싶다는데 문제가 될지 궁금합니다!
A
Dr.s Diagnosis안녕하세요. 군인 친구분의 수술 후 청원휴가에 대한 질문 주셨네요. 답변드리겠습니다.
결론적으로, 진단서에 '4주간 안전가료'가 필요하다는 내용이 명시되어 있다면, 반드시 입원해야 하는 것은 아닙니다. 안전가료는 입원뿐만 아니라 통원 치료, 자가 요양 등을 포괄하는 개념입니다.
다만, 다음과 같은 점들을 고려해야 합니다.
1. 부대 규정 확인: 부대마다 청원휴가 관련 규정이 다를 수 있습니다. 친구분께서 속한 부대의 인사 담당 부서에 문의하여 정확한 지침을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어떤 부대에서는 수술 후 휴가 시 반드시 입원을 원칙으로 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습니다.
2. 진단서 내용 재확인: 진단서에 '안전가료' 외에 '입원'이 명시적으로 필요하다는 내용이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만약 진단서에 입원 치료가 필요하다는 내용이 있다면, 통원 치료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3. 통원 치료 계획: 통원 치료를 받으면서 안전가료를 어떻게 할 것인지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는 것이 좋습니다. 예를 들어, 매일 병원에 가서 물리 치료를 받거나, 약물 복용 및 자가 운동을 꾸준히 하는 등의 계획을 세우고, 이를 부대에 보고하는 것이 좋습니다.
4. 복귀 시 필요 서류 확인: 현재 복귀 시 추가 서류가 필요 없다고 안내받았지만,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하여 통원 치료 확인서나 진료 내역서 등을 미리 준비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예시:
* 긍정적인 경우: 진단서에 '4주간 안전가료'만 명시되어 있고, 부대 규정상 입원이 필수가 아니며, 통원 치료 계획을 부대에 보고하고 승인받은 경우 -> 통원 치료 가능
* 부정적인 경우: 진단서에 '4주간 입원 가료'가 명시되어 있거나, 부대 규정상 수술 후 휴가 시 입원이 필수인 경우 -> 입원 치료 필요
따라서, 친구분께서는 위에 안내드린 내용들을 꼼꼼히 확인하신 후, 부대와 협의하여 통원 치료 여부를 결정하시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