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5-16 09:09:15부산 목디스크 잘 보는 병원 있나요?
평소에 어깨랑 승모근에 통증이 심하고 뒷목도 뻐근하고 고개를 돌릴 때 불편감도 있었는데 어느날부터 자다가 팔이 마비오듯이 저려서 깨고 아침마다 양팔 다 팔이 저리고 힘이 안 들어가더라구요..
3월에 김해 ㄷㅋㅂ원 방문해서 MRI 촬영 하니 4/5, 5/6번간 추간판탈출증 이라해서 신경성형술 받고 두달동안 내원 했는데도 나아지는게 없고 일상생활 속에서도 물건을 들 때 팔저림이 심해서 삶의 질이 너무 떨어져서 힘이 드네요ㅠㅠ
어깨통증이랑 목통증도 그대로고요ㅠㅠ
병가를 쓰고 치료를 받고 있었는데 복직도 며칠 남지 않아서 너무 막막하네요..
부산이나 경남권으로 병원추천이나 조언해주실 분 있으실까요?
제가 차도 없고 그래서 멀리까지 못 나가서 최대한 집이랑 가까운 곳에서 치료하려다보니...
조언 부탁드립니다..
A
Dr.s Diagnosis안녕하세요, 팔 저림과 목/어깨 통증으로 고생하시는군요. MRI 결과 추간판탈출증 진단을 받으셨고, 신경성형술 후에도 호전이 없어 걱정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병원 방문이 어려운 상황이시니, 제가 드릴 수 있는 의학적 조언을 바탕으로 몇 가지 제안을 드립니다.
1. 증상 완화를 위한 자가 관리:
* 바른 자세 유지: 컴퓨터 작업이나 스마트폰 사용 시 목을 앞으로 빼는 자세는 목에 부담을 줍니다. 의식적으로 어깨를 펴고 턱을 당기는 자세를 유지하세요. 모니터 높이를 눈높이에 맞추고, 스마트폰은 눈높이까지 올려서 보는 것이 좋습니다.
* 스트레칭 및 근력 강화 운동: 목, 어깨 주변 근육을 이완시키는 스트레칭을 꾸준히 해주세요. 간단한 목 스트레칭 (좌우/앞뒤로 천천히 기울이기, 어깨 돌리기)이나 어깨 근력 강화 운동 (가벼운 아령 들기, 밴드 운동)이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유튜브에서 '목 디스크 스트레칭' 또는 '어깨 통증 완화 운동'을 검색하여 따라 해보는 것도 좋습니다.
* 온찜질: 따뜻한 물수건이나 찜질팩으로 목과 어깨를 15-20분 정도 찜질하면 근육 이완과 혈액 순환에 도움이 됩니다.
* 베개 높이 조절: 너무 높거나 낮은 베개는 목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6~8cm 정도의 높이로, 똑바로 누웠을 때 목뼈의 C자 커브를 유지해주는 베개를 선택하세요. 옆으로 누울 때는 어깨 높이를 고려하여 베개 높이를 조절해야 합니다.
* 소염진통제 복용: 통증이 심할 경우, 약국에서 구입할 수 있는 일반 소염진통제를 복용해 볼 수 있습니다. 단, 위장 장애가 있을 수 있으므로 식후에 복용하고, 장기간 복용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2. 추가적인 치료 방법 고려:
* 신경차단술: 신경성형술로 효과를 보지 못했다면, 다른 종류의 신경차단술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통증 부위에 직접 주사하여 통증을 완화시키는 방법입니다.
* 도수치료: 전문 도수치료사에게 목과 어깨 주변 근육을 이완시키고 관절을 교정받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다만, 숙련된 치료사에게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수술적 치료: 보존적 치료로 호전이 없고 증상이 심한 경우, 수술적 치료를 고려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수술은 신중하게 결정해야 하며, 여러 전문의의 의견을 들어보는 것이 좋습니다.
3. 병원 선택 시 고려 사항:
* 목 디스크 전문의: 신경외과 또는 정형외과 전문의 중 목 디스크를 전문으로 진료하는 의사를 찾아보세요.
* 진료 경험: 목 디스크 치료 경험이 풍부한 병원인지 확인하세요. 홈페이지나 병원 관련 정보를 통해 확인하거나, 주변 사람들의 추천을 받는 것도 좋습니다.
* 진료 시스템: MRI, CT 등 필요한 검사를 신속하게 받을 수 있는지, 치료 프로그램은 어떻게 운영되는지 등을 확인하세요.
* 접근성: 대중교통 이용이 편리하거나 자가용 이용 시 주차가 편리한 곳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4. 추가적인 조언:
* 정확한 진단: 3월에 MRI를 찍으셨지만, 현재 증상 변화를 고려하여 다시 한번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 복직 준비: 복직 전까지 최대한 증상 완화를 위해 노력하시고, 복직 후에도 꾸준히 관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업무 환경을 개선 (높이 조절 책상 사용, 바른 자세 유지 등)하고, 틈틈이 스트레칭을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Disclaimer: 이 정보는 일반적인 의학적 조언이며, 개인의 상황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반드시 전문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