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5-02 09:17:55제 혀 질환이 어떻게 하면 좋아 질까요?? 사진 첨부
좀 오래 되긴 했는데
이비인 후과에 처음 갔을 때는. 일시적으로 혀 표면이 벗겨진 거니 일시적인 거래해서. 약도 처방안하고 왔는데
더 않좋아져서 다른 이비인 후과에 가니. 혀에 세균이 감염되었다고. 가글 잘하면 된다고 했는데
이후로 혀에 치솔질도 하고. 가글도 계속 하는데 좋아지지 않아서. 혹시나. 하는 마음에 여기에 올립니다

A
Dr.s Diagnosis안녕하세요. 사진과 함께 혀 상태에 대해 문의주셨네요. 혀의 표면이 벗겨지고 세균 감염 진단을 받으셨지만, 칫솔질과 가글 후에도 호전이 없으셔서 걱정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가능성 있는 질환:
* 구강 건조증: 침 분비가 부족하면 혀가 건조해지고 갈라지기 쉽습니다.
* 지도상설(양성 이동성 설염): 혀 표면에 불규칙한 모양의 붉은 반점들이 나타나는 질환입니다. 통증이 없는 경우가 많지만, 특정 음식에 민감하게 반응할 수 있습니다.
* 칸디다증(아구창): 곰팡이 감염으로 인해 혀에 흰색 막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 편평태선: 자가면역 질환으로, 구강 점막에 흰색 선이나 반점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 구강 알레르기 증후군: 특정 음식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으로 입술, 혀, 목 등이 붓고 가려울 수 있습니다.
자택에서 시도해 볼 수 있는 방법:
* 구강 위생 관리: 혀 클리너나 부드러운 칫솔로 혀를 부드럽게 닦아 세균과 음식물 찌꺼기를 제거하세요.
* 수분 섭취: 물을 자주 마셔 입안이 건조하지 않도록 유지하세요.
* 자극적인 음식 피하기: 맵거나 짜고, 뜨겁거나 차가운 음식은 혀에 자극을 줄 수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 가습기 사용: 건조한 환경은 구강 건조증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가습기를 사용하여 실내 습도를 유지하세요.
* 금연 및 금주: 흡연과 음주는 구강 건강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치므로 삼가세요.
병원 방문:
* 정확한 진단: 자가 치료로 호전이 없다면 구강내과 또는 이비인후과를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 추가 검사: 필요한 경우 조직 검사나 알레르기 검사 등을 통해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적절한 치료: 진단 결과에 따라 항진균제, 스테로이드 연고, 면역억제제 등 적절한 치료를 받을 수 있습니다.
참고:
* 혀 상태는 전신 건강을 반영하는 지표가 될 수 있습니다. 혀의 색깔, 모양, 질감 변화는 특정 질환의 신호일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관찰하는 것이 좋습니다.
* 첨부하신 사진만으로는 정확한 진단을 내리기 어렵습니다. 불편함이 지속된다면 꼭 병원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