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5-09 10:29:57

심부정맥혈전증, 하지동맥폐색증 는 둘다 혈관외과에서보나

두개질환이 약간은 다른거 같은데

혈관외과에서 예약하라해서 일단 동네병원에서 진료 의뢰서는 받았거든요

근데 교수진마다 전문 분야가 달라서 혈관외과쪽이지만

대동맥 질환, 말초혈관질환, 하이브리드 수술, 대동맥 수술, 말초혈관 수술 만 적혀있고 심부정맥혈전증, 하지동맥폐색증은 없는데.. 진료봐도 상관없을까요 ?..

A
Dr.s Diagnosis
네, 안녕하세요. 심부정맥혈전증과 하지동맥폐색증에 대해 문의주셨네요. 두 질환 모두 혈관외과에서 진료를 보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교수님마다 전문 분야가 조금씩 다를 수 있어서 걱정되시는 마음 이해합니다. 심부정맥혈전증(DVT)은 다리 깊숙한 곳에 있는 정맥에 혈전이 생기는 질환이고, 하지동맥폐색증(PAD)은 다리로 가는 동맥이 좁아지거나 막히는 질환입니다. 두 질환 모두 혈관에 문제가 생기는 것이기 때문에 혈관외과에서 다루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교수님 전문 분야 확인: * 말초혈관질환: 하지동맥폐색증은 말초혈관질환의 대표적인 예시입니다. "말초혈관질환"을 전문으로 하시는 교수님은 하지동맥폐색증에 대한 경험이 많으실 가능성이 높습니다. * 말초혈관 수술: 혈관이 막히거나 좁아진 경우, 혈관을 넓히거나 새로운 혈관을 연결하는 수술을 "말초혈관 수술"이라고 합니다. 하지동맥폐색증의 치료 방법 중 하나이므로, 이 분야를 전문으로 하시는 교수님도 관련 경험이 많으실 겁니다. * 하이브리드 수술: 혈관 질환 치료 시, 수술적인 방법과 비수술적인 방법(혈관 내 시술 등)을 함께 사용하는 것을 "하이브리드 수술"이라고 합니다. 심부정맥혈전증이나 하지동맥폐색증 치료에 이러한 접근법이 사용될 수 있습니다. 결론: 문의하신 교수님들의 전문 분야 설명에 "심부정맥혈전증"이나 "하지동맥폐색증"이 명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말초혈관질환", "말초혈관 수술", "하이브리드 수술" 등의 키워드가 있는 것으로 보아 진료를 받으셔도 괜찮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추가적으로 고려할 점: 1. 병원에 문의: 해당 병원 혈관외과에 전화하여 심부정맥혈전증과 하지동맥폐색증 진료가 가능한지, 어떤 교수님께 예약하는 것이 좋을지 문의해 보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2. 교수님께 직접 문의: 진료 시 교수님께 현재 증상과 함께 "심부정맥혈전증/하지동맥폐색증 진료 경험이 있으신지" 직접 여쭤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예시: 환자: "교수님, 제가 다리가 붓고 아파서 동네 병원에서 심부정맥혈전증/하지동맥폐색증 가능성이 있다고 진단받고 의뢰서를 받아 왔습니다. 혹시 이 질환에 대한 진료 경험이 있으신지 여쭤봐도 될까요?" 3. 다른 병원 고려: 만약 해당 병원에서 관련 질환에 대한 전문적인 진료를 받기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 심부정맥혈전증/하지동맥폐색증을 전문으로 하는 다른 병원을 찾아보는 것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주의: 위 내용은 일반적인 의학 정보에 기반한 조언이며, 정확한 진단 및 치료 계획은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 후 결정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