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9-05 12:12:17

근로자 차량사고 법적조치

근로자 1명이 무면허로 운전을 하고 사고를 낸후에 팀장에게 덮어달랬는데 팀장이 들어주지않아서 2주 뒤에 걸리고 사장에게 인력사무소에서 파견 근로자가 운전했다고 거짓말친후에 수리비 300차감을 알겠다고 한뒤 몇달지나서 퇴사를 하고 후에 자기가 운전하지않았다고 주장후에 사장에게 사기죄로 신고한 상태입니다. 그래서 인력사무소에서 파견 근로자에게 연락을 해봣더니 자기가 운전을 한적이없다 합니다. 제가 할수있는 법적조치가 궁금합니다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차량 사고와 관련된 법적 조치에 대해 문의주셨습니다. 말씀하신 상황은 다소 복잡하게 얽혀 있어, 각 상황별로 가능한 법적 조치를 자세히 설명드리겠습니다. 1. 무면허 운전 및 사고: * 근로자: 무면허 운전은 도로교통법 위반에 해당하며, 형사 처벌 대상입니다. 또한 사고를 낸 것에 대한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도 발생합니다. * 회사의 책임: 원칙적으로는 회사가 직접적인 책임은 없으나, 차량 관리 소홀 등의 과실이 인정될 경우 일부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차량 키 관리가 허술했거나, 무면허 운전을 묵인했다는 사실이 밝혀지면 사용자로서의 책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2. 팀장의 은폐 시도: * 팀장: 사고 은폐를 시도한 행위는 범죄 은닉 또는 증거 인멸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형법에 따라 처벌받을 수 있습니다. 3. 사장에 대한 허위 보고: * 근로자: 사장에게 허위 사실을 보고하여 수리비 차감을 받아낸 행위는 사기죄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형법에 따라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2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4. 퇴사 후 운전 사실 부인 및 사기죄 신고: * 근로자: 퇴사 후 운전 사실을 부인하고 오히려 사장을 사기죄로 신고한 행위는 무고죄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형법에 따라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습니다. 5. 회사가 취할 수 있는 법적 조치: * 근로자에 대한 형사 고소: 무면허 운전, 사기, 무고 등의 혐의로 근로자를 형사 고소할 수 있습니다. 증거로는 사고 당시 정황, 수리비 차감 동의서, 인력사무소 파견 근로자의 진술 등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근로자에 대한 민사상 손해배상 청구: 사고로 인해 발생한 손해(차량 수리비 등)에 대해 근로자에게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 팀장에 대한 징계: 사고 은폐 시도에 대한 책임을 물어 팀장을 징계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 증거 확보: 각 상황에 대한 증거(진술서, CCTV 영상, 계약서, 문자 메시지 등)를 최대한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법률 전문가 상담: 상황이 복잡하므로, 변호사와 상담하여 구체적인 법적 조치 방향을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시: * 사기죄 고소: "피고소인은 2023년 5월 1일, 차량 사고를 낸 후 자신이 운전하지 않았다고 거짓말하여 피해자(사장)로부터 차량 수리비 300만원을 차감받았습니다. 이는 형법 제347조 사기죄에 해당하므로 고소합니다." * 무고죄 고소: "피고소인은 2023년 8월 1일, 피해자(사장)를 사기죄로 허위 고소하였습니다. 이는 형법 제156조 무고죄에 해당하므로 고소합니다." 결론: 현재 상황은 여러 법적 쟁점이 얽혀 있으므로, 반드시 변호사와 상담하여 정확한 법률 자문을 받으시는 것을 권해드립니다. 또한, 증거 확보에 최선을 다하여 회사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도록 노력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