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7-11 09:12:14

미주신경성 실신 병역판정

22년도 미주신경성 실신으로 응급실 가고 그 후 실신까지는 아니지만 증상이 계속 있어

24년 자율신경계 검사를 했습니다

자율신경계 부분에 이상 있다고 판정 받았고

25년에는 기립경검사를 받아 미주신경성실신 판정을 받았습니다

이 경우 어떤 병역 판정을 받나요?

A
Dr.s Diagnosis
미주신경성 실신으로 병역 판정을 문의주셨네요. 22년부터 증상이 있었고, 자율신경계 검사 이상 소견 및 기립경 검사에서 미주신경성 실신 진단을 받으신 상황이시군요. 병역 판정 기준은 질병의 심각도, 빈도, 치료 반응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병역 판정 기준: * 5급 (전시근로역): 미주신경성 실신이 매우 심하여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 또는 실신으로 인해 반복적인 외상(골절, 뇌진탕 등)이 발생하는 경우 고려될 수 있습니다. * 4급 (보충역): 미주신경성 실신이 자주 발생하고, 약물 치료나 생활 습관 교정으로도 조절이 어려운 경우 고려될 수 있습니다. * 3급 (현역): 미주신경성 실신이 비교적 경미하고, 약물 치료나 생활 습관 교정으로 조절이 잘 되는 경우 고려될 수 있습니다. * 2급 또는 1급 (현역): 미주신경성 실신 증상이 거의 없고, 일상생활에 지장이 없는 경우 고려될 수 있습니다. 정확한 판정을 위해서는: 1. 병무용 진단서 발급: 병무청 지정 병원에서 미주신경성 실신에 대한 병무용 진단서를 발급받으세요. 진단서에는 병력, 검사 결과(자율신경계 검사, 기립경 검사 등), 치료 내용, 현재 상태, 향후 예후 등이 자세히 기록되어야 합니다. 2. 추가 검사: 병무청에서 필요하다고 판단하는 경우, 추가적인 검사를 요구할 수 있습니다. 3. 병역판정검사: 병무용 진단서와 검사 결과를 가지고 병역판정검사를 받으시면, 최종 병역 판정이 내려집니다. 참고 사항: * 미주신경성 실신은 개인차가 크기 때문에, 위에 제시된 기준은 일반적인 참고 사항일 뿐입니다. * 병역 판정은 병무청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 정확한 병역 판정 기준은 병무청에 문의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병원 방문 팁: * 진료 시 실신 빈도, 유발 요인, 증상 지속 시간 등을 자세히 설명하세요. * 실신으로 인해 다친 적이 있다면, 관련 자료를 챙겨가세요. * 평소 복용하는 약이 있다면, 약 이름과 용량을 의사에게 알려주세요. 주의: 이 답변은 일반적인 의학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정확한 진단 및 치료는 반드시 의사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