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5-01 07:26:35안과질문입니다
눈이 무겁도 답답하고 글자,사물,사람 등이 또렷하게 안 보이는 느낌이 나서 안과를 갓는데 렌즈 부작용으로 눈이 헐엇다고 하더라구요 그외에는 아무말이 없엇습니다안약같은거 처방받고 2-3일 뒤에 다시오라고 햇지만 안 갓습니다 며칠지나면 눈헌거는 낫겟지싶어서..오늘 9일정도 지낫고 생각난 김에 안과는 갓는데 문을 닫아서 근처 다른 안과에 갓습니다 렌즈로 인한 거는 렌즈 끼는 사람들은 다 그렇다고 별거 아닌것처럼 말하더라구요 근데 망막에 이상소견이 보인다고 당뇨같은거 잇냐고 물어보고 ,, 검사받아보라고 하더라구요 그냥 안받고 일주일뒤에 다시 오겟다고 나왓습니다
첫번째 안과에서는 아무 말도 안햇는데 두번재 안과에서는 망막이런얘기를 해서,,ㅠㅜ 어느 안과말이 맞나요? 왜 첫번째 안과에서는 망막얘기가 없엇죠??아님 두번째 안과에서 부풀려서 말한건가요??
A
Dr.s Diagnosis안녕하세요. 안과 관련 질문 주셨네요. 두 안과의 진단이 달라서 혼란스러우셨을 텐데, 차근차근 설명해 드릴게요.
1. 렌즈 부작용으로 인한 각막 헐음:
* 첫 번째 안과: 렌즈 부작용으로 각막이 헐었다는 것은 각막 상피에 손상이 생겼다는 의미입니다. 렌즈를 장시간 착용하거나 렌즈 관리가 소홀할 경우 흔히 발생할 수 있습니다. 각막 헐음 자체는 심각한 질환은 아니지만, 방치하면 세균 감염 등으로 이어질 수 있으므로 안과에서 처방받은 안약을 꾸준히 사용하고 렌즈 착용을 중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두 번째 안과: 렌즈 착용자에게 흔히 나타나는 문제라고 언급한 것은 각막 헐음 자체에 대한 설명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각막 헐음이 심하거나 반복적으로 발생하면 다른 합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간과해서는 안 됩니다.
2. 망막 이상 소견:
* 두 번째 안과: 망막은 눈의 안쪽 벽에 있는 신경조직으로, 시각 정보를 뇌로 전달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망막에 이상이 생기면 시력 저하, 시야 결손, 변시증(사물이 찌그러져 보이는 현상)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당뇨병은 망막 혈관에 손상을 일으켜 당뇨망막병증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의사가 당뇨병 여부를 질문한 것으로 보입니다.
* 첫 번째 안과: 첫 번째 안과에서 망막에 대한 언급이 없었던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 각막 헐음이 심해 망막 검사를 진행하지 못했을 수 있습니다.
* 간단한 검사만으로는 망막 이상을 발견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환자분의 주 증상이 각막 헐음과 관련된 것이어서 망막 검사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을 수 있습니다.
3. 어느 안과 말이 맞나요?
두 안과 모두 틀린 말을 한 것은 아닙니다. 다만, 진료 시점과 검사 방법에 따라 진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현재로서는 두 번째 안과에서 망막에 이상 소견이 있다고 했으므로, 정밀 검사를 받아보는 것이 좋습니다.
4. 추가적으로 고려해야 할 사항:
* 정밀 검사: 망막 이상 소견에 대한 정확한 진단을 위해서는 산동 검사, 망막 촬영, 광간섭단층촬영(OCT) 등의 정밀 검사가 필요합니다.
* 기저 질환: 당뇨병, 고혈압 등 기저 질환이 있다면 망막 질환의 위험이 높아지므로, 내과 진료도 함께 받는 것이 좋습니다.
* 경과 관찰: 망막에 이상이 없더라도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시력 변화나 망막 상태를 꾸준히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제 조언:
1. 두 번째 안과에서 권유한 망막 정밀 검사를 받아보세요.
2. 과거 병력(당뇨병, 고혈압 등)이 있다면 의사에게 알리세요.
3. 렌즈 착용을 중단하고, 안과에서 처방받은 안약을 꾸준히 사용하세요.
4.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눈 건강을 관리하세요.
Disclaimer: 이 정보는 의학적 조언을 대체하는 것이 아니며, 자가 진단이나 치료에 사용되어서는 안 됩니다. 반드시 안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