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9-19 08:53:16형제들하고 연락없이 동의서 작성하는 법
어머니가 돌아가시고 1년가까이 지났는데 의료비 환급금이 발생했다고 공단에서 연락이 왔는데 액수가 100만원이 넘는다고 형데들에게 동의서를 받아야 환급이 가능하다는데 연락을 끊고산지가 꽤 되어서 좋은 방법이나 임의로 작성해서 보낼수는 없는지 궁금합니다
A
Dr.s Diagnosis어머니의 의료비 환급금 문제로 어려움을 겪고 계시는군요. 형제들과 연락이 닿지 않아 동의서를 받는 것이 어려운 상황이라는 점을 고려하여 몇 가지 현실적인 조언을 드리겠습니다.
1. 법적 절차 및 필요 서류 확인:
* 국민건강보험공단 문의: 우선 국민건강보험공단에 정확한 환급 절차와 필요한 서류를 다시 한번 확인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필요한 서류 중 '상속관계 확인 서류'가 있을 수 있는데, 이는 가족관계증명서, 제적등본 등으로 대체 가능한 경우가 있습니다.
* 상속인 전원 동의: 원칙적으로 환급금을 받기 위해서는 상속인 전원의 동의가 필요합니다. 그러나 예외적인 경우가 있을 수 있으므로 공단에 문의하여 자세한 내용을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2. 연락 두절된 형제 관련 대처:
* 법원 공고: 형제들과 연락이 닿지 않는 경우, 법원에 '상속재산분할심판'을 청구하여 법원의 결정을 받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법원은 연락이 닿지 않는 형제들에게 공고를 통해 내용을 알리고, 일정 기간이 지나도 연락이 없으면 법원의 판단에 따라 환급금을 분할하거나 수령인을 지정할 수 있습니다.
* 기타 연락 방법: 혹시라도 형제들의 주소나 연락처를 알고 있다면 내용증명 우편을 보내어 동의서 작성을 요청해 볼 수 있습니다. 예상치 못한 방법으로 연락이 닿을 수도 있습니다.
3. 임의 작성의 위험성:
* 법적 문제 발생: 형제들의 동의 없이 임의로 동의서를 작성하는 것은 명백한 불법 행위입니다. 이는 사문서 위조에 해당하며, 형사 처벌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환급금을 받더라도 추후에 법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전문가의 도움:
* 법률 전문가 상담: 상황이 복잡하고 법적인 문제가 얽혀있으므로, 변호사나 법무사와 상담하여 정확한 법률 자문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상속 전문 변호사는 유사한 사례에 대한 경험이 많으므로, 문제 해결에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상속 관련 상담: 대한법률구조공단 등에서는 무료 법률 상담을 제공하고 있으니, 이를 활용해 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5. 추가적인 정보:
* 상속포기: 만약 형제들이 상속포기를 한다면, 환급금을 받기가 더 수월해질 수 있습니다. 상속포기는 상속 개시일(어머니 사망일)로부터 3개월 이내에 해야 합니다.
* 소액 사건 심판: 환급금 액수가 소액인 경우, 법원에서 간소화된 절차로 진행되는 소액 사건 심판을 통해 해결할 수도 있습니다.
어머니의 의료비 환급금을 받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많으시겠지만, 위에서 제시된 방법들을 차근차근 검토해 보시고, 필요한 경우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문제를 해결해 나가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