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4-22 09:17:38

상악동거상술 후 잇몸에서 냄새 나는 액체와 뼛가루… 괜찮은 걸까요?

안녕하세요.

저는 2025년 3월 26일에 한국에서 상악동거상술 + 임플란트 식립 수술을 받았고,

현재는 말레이시아에 체류 중입니다.

수술 직후에는 통증이 심했고 오른쪽 뺨이 크게 부었으며 열감도 있었지만,

항생제 복용 후에는 증상이 많이 가라앉았고 그 후로는 별다른 문제 없이 지내왔습니다.

그런데 최근에 갑자기 문제가 생겼습니다.

최근 증상

오른쪽 윗잇몸 깊은 부위에서

썩은 냄새 나는 액체가 아주 소량씩 계속 새어나오고 있어요.

색은 흰색 ~ 누런색 정도고,

코를 막고 숨을 내쉴 때 치아 쪽이나 광대 근처에 묘한 압박감이 느껴집니다.

겉으로 보면 꿰맨 자리가 벌어지거나 구멍 난 건 보이지 않고,

후레쉬로 비춰봐도 어디서 나는지 정확히는 모르겠어요.

며칠 전까지는 그 액체와 함께 뼛가루처럼 보이는 입자도 나왔습니다.

(지금은 액체만 나오는 상태예요.)

말레이시아 현지 치과 진료 결과

CBCT 촬영이 필요하다고 했지만 장비가 없어 촬영은 불가능했고,

구강 확인만으로 상악동 거상 부위에 구멍이 생긴 것 같다,

염증도 있어 보인다는 말을 들었습니다.

이대로 두면 임플란트가 상악동 안으로 들어갈 수도 있다고 했고,

수술 자체는 이곳에선 불가능하다고 하네요.

현지 의사도 한국 치과에 연락해 보라고 했지만

수술받은 치과와는 연락이 잘 닿지 않아 확인이 어려운 상황이라서

지금 굉장히 불안하고 답답한 상태입니다.

한국 귀국은 10월 예정이라 그전까지 현지에서 조치가 어려운 상황입니다.

질문드립니다

이식한 뼛가루가 입안으로 나오는 게 정상적인 현상은 아닌 거죠?

썩은 냄새 나는 액체가 계속 나는 게 감염이거나 상악동염 때문일 수 있나요?

항생제를 먹으면서 지켜봐도 괜찮은 상황인지,

아니면 지금이라도 뭔가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한 상태일까요?

이런 경우 재수술 가능성이 높은지도 궁금합니다.

지금부터 상태가 더 나빠질 확률이 높은지,

아니면 현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은지도 알고 싶어요.

아래에 4월 20일에 촬영한 파노라마 사진과

수술 부위 구강 내부 사진도 같이 첨부했습니다.

(내부 사진이라 다소 불편하실 수 있습니다, 주의 부탁드립니다.)

정말 조언이 절실한 상황이라,

비슷한 경험이 있으셨던 분이나 의료계에 계신 분들의 의견 부탁드립니다.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올려주신 글과 사진을 통해 현재 상황을 파악했습니다. 상악동 거상술 후 잇몸에서 냄새나는 액체와 뼛가루가 나오는 증상에 대해 걱정이 많으실 텐데요. 지금부터 자세히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1. 뼛가루가 입안으로 나오는 것이 정상적인 현상인가? * 아닙니다. 이식한 뼛가루가 입안으로 나오는 것은 정상적인 현상이 아닙니다. 이는 이식 부위가 제대로 아물지 못했거나, 감염, 외상 등의 원인으로 인해 골 이식재가 노출되었을 가능성을 시사합니다. 2. 썩은 냄새 나는 액체가 계속 나는 것이 감염이거나 상악동염 때문일 수 있나? * 네, 썩은 냄새 나는 액체가 계속 나오는 것은 감염 또는 상악동염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 감염: 수술 부위에 세균이 감염되어 염증이 생기면 고름과 같은 액체가 나올 수 있습니다. 이 액체는 썩은 냄새를 동반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 상악동염: 상악동은 코와 연결된 공간으로, 수술 과정에서 상악동에 염증이 생길 수 있습니다. 상악동염이 발생하면 누런색 또는 녹색의 콧물과 함께 썩은 냄새가 날 수 있습니다. * 올려주신 내용으로 볼 때, 냄새나는 액체가 흰색~누런색이고 코를 막고 숨을 내쉴 때 치아 쪽이나 광대 근처에 압박감이 느껴지는 것으로 보아 상악동염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3. 항생제를 먹으면서 지켜봐도 괜찮은 상황인지, 아니면 지금이라도 뭔가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한 상태일까? * 현재 상황은 항생제 복용만으로 해결될 가능성은 낮습니다. 적극적인 조치가 필요합니다. * 현지 치과 방문: 현재 말레이시아에 체류 중이시므로, 가능한 한 빨리 CBCT 촬영이 가능한 치과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CBCT 촬영을 통해 상악동 거상 부위의 상태, 염증 정도, 임플란트 위치 등을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습니다. * 감염 치료: CBCT 촬영 결과 감염이 확인되면, 항생제 복용과 함께 감염 부위를 세척하고 소독하는 치료가 필요할 수 있습니다. 심한 경우, 추가적인 수술적 치료가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 상악동염 치료: 상악동염이 확인되면, 항생제, 비강 스프레이, 점액 용해제 등을 사용하여 치료합니다. 증상이 심한 경우, 상악동 세척술이나 내시경 수술이 필요할 수도 있습니다. 4. 이런 경우 재수술 가능성이 높은지? * 재수술 가능성은 현재 상태에 따라 달라집니다. * 골 이식 실패: 골 이식재가 제대로 생착되지 못하고 노출된 경우, 재수술을 통해 골 이식재를 다시 이식해야 할 수 있습니다. * 임플란트 실패: 임플란트가 흔들리거나 상악동 내로 이동한 경우, 임플란트를 제거하고 재수술을 해야 할 수 있습니다. * 상악동 손상: 상악동 점막이 손상된 경우, 재수술을 통해 손상된 점막을 복구해야 할 수 있습니다. 5. 지금부터 상태가 더 나빠질 확률이 높은지, 아니면 현 상태로 유지되는 경우가 많은지? * 적절한 치료를 받지 않으면 상태가 더 나빠질 확률이 높습니다. * 감염 확산: 감염을 방치하면 주변 조직으로 확산되어 더 심각한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 골 소실: 염증으로 인해 잇몸뼈가 녹아내릴 수 있습니다. * 임플란트 실패: 임플란트가 흔들리거나 빠질 수 있습니다. 결론 및 권고사항 1. 최대한 빨리 CBCT 촬영이 가능한 치과를 찾아 정확한 진단을 받으세요. 2. **진단 결과에 따라 적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