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6-12 09:40:45

실비가 없는데 실비가 있다고 간호사가 추가진료를 청구함

어머니가 정형외과에서 관절 주사를 맞으시러 병원에 방문했습니다.

여러군대 주사를 맞으시고 있는 중간에 간호과총책임자가 어머니한테 와서 실비가 있는데 주사를 더 맞으시지 안맞으시냐고 이야기해서 어머니 께서는 실비가 없다고 이야기 했다고 합니다.근데 실비 있다고 하면서 주사를 더 맞으라고 해서 추가로 주사를 맞으셨다고 합니다.

그후에 실비 있으시니 기존에 있던 처방자료까지 출력해가라고 이야기해서 출력을 해오신 상태입니다.

집에와서 실비를 확인해보니 실비가 없었고, 전화를 해서 자초자정을 들어보니어머니가 실비가 있엇다고 이야기 하시더라고요. 내용 다 듣고 어머니는 그런 말 하신적 없고간호사분이 직접오셔서 실비가 있으신데 왜 주사 안 맞으시냐고 먼저 제안하신거 아니냐니까그제서야 있으신 줄 알았다고 얼버무리시더라고요.. 그러면서 어머니가 서류도 언제까지 직접 말하고받아가셨다고 하시길래. 그런 적 없다고 말하니까.. 자기가 의사소통에 오해가 있었던 거 같다고얼렁뚱땅 넘어가려고 하셨습니다.

다음에 주사 맞으러 오실 때 주사 비용도 제외해드리고, 서류 값도 취소해주겠다고 하더라고요.전화해서 담당자 확인해보니 정형외과 간호과장(총책임자)라고 합니다.

돈 때문에 화난게 아니라 어르신들한테 이런식으로 장사를 하는 것 같아 화가 나는데 이게 맞는 것인지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는지 궁금해서 지식인 올려봅니다.

A
Dr.s Diagnosis
어머니께서 겪으신 상황에 대해 매우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실비보험이 없는데 간호사가 실비가 있다고 하면서 추가 진료를 권유한 것은 명백히 부당한 행위로 보입니다. 특히 어르신들을 대상으로 이러한 행위를 하는 것은 더욱 심각한 문제라고 생각합니다. 취할 수 있는 조치 1. 병원에 대한 항의 및 민원 제기: * 병원 측에 공식적으로 항의하고, 해당 간호사의 행위에 대한 시정을 요구하십시오. 병원 내부 민원 처리 절차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도록 요구할 수 있습니다. * 병원장 또는 병원 관리 책임자에게 직접 상황을 설명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요구하십시오. * 민원 제기 시에는 당시 상황을 구체적으로 기록한 내용 (예: 날짜, 시간, 간호사 이름, 대화 내용 등)을 첨부하여 증거로 활용하십시오. 2.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평원)에 민원 제기: * 심평원은 의료기관의 진료비 청구 및 적정성 평가를 담당하는 기관입니다. 부당한 진료비 청구 또는 과잉 진료 의혹이 있는 경우 심평원에 민원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 심평원 홈페이지 또는 전화 (1644-2000)를 통해 민원 접수가 가능합니다. 민원 접수 시에는 진료 내역, 병원 정보, 부당하다고 생각하는 부분을 상세히 기재하십시오. * 심평원은 민원 내용을 조사하여 부당한 진료비 청구가 확인될 경우 환불 조치 및 해당 의료기관에 대한 제재를 가할 수 있습니다. 3. 소비자보호원 또는 소비자단체에 상담 및 피해 구제 신청: * 소비자보호원 (1372) 또는 소비자단체는 소비자의 권익 보호를 위해 다양한 상담 및 피해 구제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 해당 상황에 대해 상담을 받고, 피해 구제 신청 절차를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 소비자보호원은 병원 측과 합의를 중재하거나, 필요한 경우 법적 조치를 지원할 수 있습니다. 4. 법적 조치 (고려): * 만약 병원 측의 대응이 미흡하거나, 피해 금액이 큰 경우 법적 조치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 변호사와 상담하여 사기, 부당이득, 의료법 위반 등 법적 책임을 물을 수 있는지 검토하십시오. * 소송을 제기하기 전에 내용증명을 발송하여 병원 측에 책임을 묻고 합의를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5. 관할 보건소에 신고: * 의료기관의 부당 행위는 관할 보건소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 보건소는 해당 의료기관에 대한 조사 및 행정 처분을 내릴 수 있습니다. 어머니께 대한 조치 * 어머니께 이번 일에 대해 충분히 설명드리고, 심리적으로 안정될 수 있도록 위로해 드리십시오. * 앞으로 병원 방문 시에는 반드시 보호자와 동행하여 진료 내용을 확인하고, 불필요한 진료나 검사를 받지 않도록 주의하십시오. * 진료받기 전에 예상되는 비용을 미리 문의하고, 진료 후에는 진료비 명세서를 꼼꼼히 확인하십시오. 주의사항 * 증거 확보가 중요합니다. 당시 상황을 기록한 내용, 진료비 영수증, 처방전, 간호사와의 통화 녹음 등을 보관하십시오. * 감정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이성적으로 차분하게 문제를 해결해 나가십시오. 예시 * 심평원 민원: "OO정형외과에서 실비보험이 없는데도 간호사가 실비보험이 있다고 거짓으로 안내하여 필요 이상의 주사를 맞게 하고 진료비를 과다 청구했습니다. 진료비 환불 및 해당 의료기관에 대한 조사를 요청합니다." * 소비자보호원 상담: "정형외과에서 간호사의 기망 행위로 인해 불필요한 진료를 받고 진료비를 과다하게 지불했습니다. 피해 구제를 받을 수 있는지 상담받고 싶습니다." 이러한 조치들을 통해 부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