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9-25 12:51:23

와이프 자살시도후 응급실 과 의료보험 질문

안녕하세요. 조언과 정보를 얻고싶어 글을올립니다.

40살 남자이구요. 와이프는 44살

큰아들 9살 작은아들4살

4인가족 입니다.

와이프가 최근 수면제 12봉을 ㅈㅅ 목적으로

과다복용을 하였습니다.

응급실에 들러 중환자실에 입원해있는 상태이구요.

21년부터 우울증과 수면부족 으로 정신과를 다니다가 4개월전부터인가

체중증가 같은 부작용으로 더 우울해진다고

다른 정신과를 다니면서 수면제 및 불안증 약

처방 받고 있어요. 약을먹어도 예민한지 소리들리면 바로 깨는 사람입니다.

사건의 발단을 말씀드리자면

국민임대주택 LH에 거주중인데

밤낫새벽 할것없이 화재경보가 근 두달간 4번 울리더라구요. 저는 일하고있는데 와이프는 집에서 비오는날 잠옷으로 애들 대리고 뛰쳐나가고

새벽에 자다말고 뛰쳐나가고 이게 한두번이면 다행인뎅요. 세번 네번 가는순간 죽겠더라구요

비오는날 경비실 경비아저씨는 비맞기싫은건지 추운건지

경비실에서 멀뚱 쳐다보고만있고.

거기다가 또 우리가사는 층 에서 경보가 울렸는지

남자 없는집에 관리하는 양반이 불쑥 들어오려고 하고.

저는 일하면서 전화받으랴. 다독여주랴. 아주 죽을맛이었습니다.ㅠ 화재경보후 불안할때 먹는 필요시약을 3알 먹어도 불안하고 죽겠다고

하더라구요. 이집에서 더 못살겠다고 난리였습니다. 저도 이집이 싫지만 이사도돈이있어야 가는거 아니겠습니까. 경기도 안좋아지고 와이프도 안좋아지고 집도 안좋아지고.

저도 이제 죽을맛입니다. 병원비는 얼마나 나오려나...ㅠ 우울증 처방 받던 기록이있어서 의료보험이 적용될지도 아직 잘 모르겠구요.

LH전화해서 보상을 요구해야하는거지도 모르겠어요.

저에게 조금이라도 도움이될만한 정보와

지식을 구하고자 글 올려봅니다.

A
Dr.s Diagnosis
아내분의 갑작스러운 자살 시도와 입원으로 얼마나 힘드실지 짐작하기 어렵습니다.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가족을 생각하며 정보를 얻고자 노력하시는 모습에 안타까움과 존경심을 느낍니다. 현재 겪고 계신 문제들에 대해 몇 가지 의학적 조언과 함께 현실적인 정보들을 제공해 드리고자 합니다. 1. 아내분의 건강과 치료: * 정신과적 치료의 지속: 아내분께서 과거 우울증 치료를 받으셨고, 현재도 불안 증세가 심하신 것으로 보아 지속적인 정신과적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현재 입원 중인 병원에서 정신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으시고, 퇴원 후에도 꾸준히 상담과 약물 치료를 병행할 수 있도록 계획을 세우시는 것이 좋습니다. 필요하다면 다른 병원의 정신과 전문의의 진료를 받아보는 것도 고려해 보세요. * 심리적 안정: 아내분은 현재 극도로 불안정한 상태이므로, 심리적인 안정과 지지가 매우 중요합니다. 곁에서 끊임없이 위로와 격려를 해 주시고, 편안하게 대화할 수 있는 시간을 가지시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가족 구성원 모두가 함께 심리 상담을 받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 의료비 관련: * 의료보험 적용: 아내분께서 우울증으로 치료를 받으신 기록이 있다면, 이번 응급실 및 중환자실 치료에도 의료보험이 적용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보험 적용 여부는 병원에서 정확하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정신과 질환 관련 의료비 지원: 정신과 질환의 경우, 정부 또는 지자체에서 의료비 지원 사업을 시행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거주하시는 지역의 보건소나 정신건강복지센터에 문의하여 지원 가능성을 확인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 진료비 세부 내역 확인: 병원에서 발행하는 진료비 명세서를 꼼꼼히 확인하여 불필요한 항목은 없는지, 보험 적용이 제대로 되었는지 확인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3. 주거 환경 문제: * LH에 민원 제기 및 보상 요구: 잦은 화재경보 오작동으로 인해 아내분께서 극심한 스트레스를 받으신 것은 분명히 LH의 책임이 있는 부분입니다. LH에 공식적으로 민원을 제기하시고, 정신적인 피해에 대한 보상을 요구하시는 것을 고려해 보세요. 내용증명 우편을 통해 증거를 남겨두는 것이 좋습니다. * 이사: 현재 거주하시는 곳에서 계속 생활하는 것이 아내분의 정신 건강에 좋지 않다면, 이사를 고려해 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LH에 이사 지원 제도가 있는지 확인해 보시고, 가능하다면 다른 임대주택으로 이주하는 것을 알아보세요. 4. 기타: * 가족의 건강: 현재 아내분의 건강뿐만 아니라, 남편분과 자녀들의 심리적인 안정도 매우 중요합니다. 가족 구성원 모두가 함께 심리 상담을 받거나, 취미 활동을 함께 하는 등 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방법을 찾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 전문가의 도움: 이 모든 문제들을 혼자 해결하기에는 벅찰 수 있습니다. 정신과 전문의, 변호사, 사회복지사 등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을 고려해 보세요. ※ 면책 조항: 이 답변은 일반적인 의학 정보에 기반한 것이며, 특정 환자에 대한 진단이나 치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반드시 의사 또는 기타 자격을 갖춘 의료 전문가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 계획을 수립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