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5-02 08:35:44신장물혹 문의
이번 건강검진을 했고 대학병원진료때문에 소견서 등등 받았습니다. 사진은 조영제 없는 복부씨티 결과인데 영상의학과 판독소견인데 질문드립니다.
제 해석상 석회화를 동반한 낭종, 복합성낭종 의심 맞는지요? 그냥 석회화가 있다는건지, 격벽이 있다는건지 잘 모르겠습니다. 정확한 해석좀 부탁드립니다.
신장낭종에서 석회화만 있을경우 와 격벽이 있을 경우 어느쪽의 악성 위험도가 더 큰가요?
우신장4센티 물혹이 있는건 알고있었는데
건강검진 종합소견에는 복합낭종이란 말은없고 조영제 사용하지않은 CT로는 낭종관찰에 제한이 있다
초음파나 CT로 추적해라 이렇게만 되어있습니다.
나중에 영상의학과 소견(사진)을 우연히 보게되었는데
저렇게 석회화 소견도있는데 왜 종합소견에는 그런말이 없고 추적만하라고 되어있을까요?
복합낭종은 심각한것 아닌가요?
전문의 고견 부탁드립니다 ㅠ

A
Dr.s Diagnosis안녕하세요. 올려주신 건강검진 결과에 대한 문의에 대해 답변드리겠습니다. 제가 CT 영상을 직접 볼 수는 없지만, 영상의학과 판독 소견과 질문 내용을 바탕으로 가능한 한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1. 판독 소견 해석
* 석회화를 동반한 낭종, 복합성 낭종 의심: 판독 소견으로 미루어 보아 신장에 물혹(낭종)이 있는데, 낭종 내부에 석회화(칼슘 침착)가 있거나, 낭종의 벽에 석회화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단순한 물혹이 아닌 복합성 낭종일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입니다. 복합성 낭종은 낭종 내부에 격벽(칸막이), 석회화, 액체 성분 외 다른 고형 성분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석회화 vs 격벽: 석회화는 낭종 내부에 칼슘이 침착된 것이고, 격벽은 낭종 내부를 나누는 막입니다. 두 가지 모두 복합성 낭종의 특징입니다.
2. 악성 위험도
* 일반적으로 낭종에 격벽이 있는 경우가 석회화만 있는 경우보다 악성 위험도가 더 높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격벽은 낭종이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며, 드물게 암세포가 자라는 공간을 제공할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석회화가 동반된 낭종도 드물게 악성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추적 관찰이 중요합니다.
3. 종합소견과 영상의학과 소견의 차이
* 건강검진 종합소견은 여러 검사 결과를 종합하여 간단하게 요약한 것입니다.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은 CT는 낭종 관찰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므로, 복합낭종에 대한 언급 없이 추적 관찰만 권고했을 수 있습니다.
* 반면, 영상의학과 판독 소견은 CT 영상을 보다 자세히 분석한 결과이므로, 석회화 소견 등을 구체적으로 언급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4. 복합낭종의 심각성
* 복합낭종이라고 해서 반드시 심각한 것은 아닙니다. 복합낭종은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으며, 대부분은 양성입니다. 하지만 드물게 악성으로 발전할 수 있으므로, 정기적인 추적 관찰을 통해 변화를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향후 대처 방안
* 전문의 상담: 대학병원 진료를 예약하신 만큼, 영상의학과 판독 소견과 CT 영상을 가지고 신장내과 또는 비뇨기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과 향후 계획을 세우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추가 검사: 전문의는 필요에 따라 조영제를 사용한 CT, MRI, 초음파 검사 등 추가 검사를 통해 낭종의 정확한 특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추적 관찰: 복합낭종으로 진단된 경우, 낭종의 크기, 모양, 내부 변화 등을 정기적으로 추적 관찰해야 합니다. 추적 관찰 간격은 낭종의 크기와 모양, 환자의 건강 상태 등을 고려하여 전문의가 결정합니다.
6. 추가적으로 궁금한 점
* Bosniak 분류: 신장 낭종은 Bosniak 분류라는 기준에 따라 1~4단계로 나눌 수 있습니다. Bosniak 분류는 낭종의 모양, 격벽 유무, 석회화 유무 등을 고려하여 악성 가능성을 평가하는 데 사용됩니다. 전문의 상담 시 Bosniak 분류에 따른 낭종 단계를 확인해 보세요.
요약
신장 물혹에 석회화 소견이 있고 복합 낭종이 의심되는 상황이므로, 전문의와 상담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고 향후 추적 관찰 계획을 세우는 것이 중요합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전문가의 조언에 따라 적절히 대처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