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7-21 08:03:14

재신경치료 질문

현재 고3 학생입니다

신경치료 한 지는 1년 넘게 지났구요

애초에 치아 높이가 낮고 충치가 심해 치아ㅜ일부가 떨어져 나간 상태였어서 치료 도중에 발치 할 뻔한 적도 많았어요. 어찌저찌 끝내고 크라운 씌울 치아도 안 남아서 대충 레진으로 막은 뒤 성인 된 다음에 임플란트를 하기로 했었습니다. 근데 그 이후로 치과가 멀기도 하고 제가 치과가는 걸 무서워 해서 안 갔어요… 근데 치료한 지 6개월 지났을 쯤부터 너무 아프더라구요 결국 지금은 막아뒀던 레진이 떨어져 나온 상태인데요 구멍? 그 신경관 채우고 바로 위 부분이 다 새카맣고 악취도 엄청 심해요 그리고 잇몸쪽에 뭔가 고름처럼 볼록하게 나와있는데 그 부분이 너무 아파요 임플란트밖에 답이 없겠죠?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고3 학생분의 재신경치료 관련 질문 잘 읽어보았습니다. 현재 상황이 많이 불편하실 것 같아 안타깝습니다. 현재 상태: * 신경치료 후 레진으로 임시 수복: 신경치료 후 크라운을 씌우지 못하고 레진으로 임시 수복한 상태 * 레진 탈락 및 오염: 레진이 탈락되어 신경관이 노출되었고, 해당 부위가 검게 변색되고 악취가 나는 것으로 보아 오염이 심한 상태 * 잇몸 고름: 잇몸에 고름 주머니가 생겼고 통증이 있는 것으로 보아 치아 뿌리 쪽에 염증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높음 가능성 있는 문제점: 1. 신경치료 실패: 신경치료가 완전히 되지 않았거나, 세균이 다시 침투하여 재감염되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2. 치근단 염증: 신경치료 부위에 염증이 생겨 잇몸에 고름 주머니가 형성되었을 수 있습니다. 3. 치아 파절: 치아의 남은 부분이 약해져서 파절되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4. 충치 재발: 레진으로 떼운 부위 주변으로 충치가 재발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치료 방향: * 재신경치료: 현재 상태로는 재신경치료를 고려해 볼 수 있습니다. 기존의 신경치료 물질을 제거하고, 소독 후 다시 신경치료를 진행하는 방법입니다. 하지만, 치아의 상태가 좋지 않거나, 재신경치료 성공 가능성이 낮다고 판단될 경우 발치를 고려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 발치 후 임플란트: 치아를 살리기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 발치 후 임플란트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현재 고3이므로, 성장이 완료된 후 임플란트 시술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임플란트 외에도 브릿지나 틀니 등의 다른 치료 방법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주의사항: * 정확한 진단: 위에서 말씀드린 내용은 현재 정보만으로 추정한 것이므로, 반드시 치과에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아야 합니다. 치과에서는 X-ray 촬영 등을 통해 치아와 잇몸 상태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그에 맞는 치료 계획을 세울 수 있습니다. * 빠른 치료: 현재 상태를 방치하면 염증이 더욱 심해져 주변 치아나 뼈에도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통증이 심해져 일상생활에 지장을 줄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빨리 치과에 방문하여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병원 방문 전 준비: * 증상 기록: 현재 느끼는 통증의 정도, 발생 시기, 악화 요인 등을 자세히 기록해 두면 진료에 도움이 됩니다. * 과거 병력: 과거 치과 치료 경험, 알레르기 여부, 복용 중인 약물 등을 미리 파악해 두세요. 마무리: 치과 치료에 대한 두려움이 있으시겠지만, 방치하면 더 큰 문제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용기를 내어 치과에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으시길 바랍니다. 궁금한 점이 있다면 언제든지 다시 질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