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4-30 14:43:46경구피임약 부작용?
경구피임약 2년전에 복용하고 생리가 지속되는 부작용때문에 끊었다가 다시 복용중인데 생리 시작 첫날부터 생리 6일차인데도 아직도 피가 많이 빨갛게나오고 멈출 기미도 안보이고 생리통이 원래는 이튿날까지만있는데 여전히 생리통도 있고 자궁이 팽창하는거같은 팽만감도 들어요..
Q 1. 이대로라면 저번 복용때처럼 생리만 17일이 넘게 할거같아서 지금 이 경구피임약 말고 다른종류의 경구피임약을 이어먹어도되나요? 즉 다른 종류의 경구피임약을 새로사서 바로 이어먹어도되는가요??
Q1-1. 이러면 피임효과나 호르몬 작용은 동일하게 지속되는건가요?
Q2. 곧 놀러가서 생리 안해야하는데 지금 냅다 먹은지 6일차만에 안먹어도 되는건가요ㅠ 그럼 생리 재시작하는거 아니겟죠ㅠ
A
Dr.s Diagnosis안녕하세요. 경구피임약 복용 중 겪고 계신 불편함에 대해 자세히 알려주셔서 감사합니다. 현재 겪고 계신 증상과 질문에 대해 자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Q 1. 지금 이 경구피임약 말고 다른 종류의 경구피임약을 이어먹어도 되나요?
경구피임약 복용 중 생리 기간이 길어지고 생리통이 지속되는 것은 흔한 부작용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현재 복용 중인 약을 중단하고 다른 종류의 경구피임약으로 바로 바꿔 복용하는 것은 권장하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 호르몬 불균형: 갑작스러운 약 변경은 호르몬 수치를 불안정하게 만들어 부정출혈이나 다른 부작용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피임 효과 감소: 새로운 약으로 바로 바꾸면 피임 효과가 제대로 나타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대처 방법:
1. 현재 약 복용 유지: 일단 현재 복용 중인 약을 계속 복용하면서 몸 상태를 지켜보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2-3달 정도 복용하면 몸이 적응하여 부작용이 줄어들 수 있습니다.
2. 산부인과 상담: 증상이 계속되거나 심해진다면 반드시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하세요. 전문의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 약 종류 변경: 현재 복용 중인 약이 맞지 않는다면, 다른 종류의 경구피임약으로 변경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에스트로겐 함량이 낮은 약이나 프로게스틴 종류가 다른 약으로 변경할 수 있습니다.
* 추가 검사: 필요에 따라 자궁 초음파 검사나 호르몬 검사 등을 통해 출혈의 원인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지혈제 처방: 출혈이 심한 경우, 일시적으로 지혈제를 처방하여 출혈을 멈추게 할 수 있습니다.
Q1-1. 이러면 피임효과나 호르몬 작용은 동일하게 지속되는 건가요?
만약 의사와의 상담 없이 임의로 약을 변경하면 피임 효과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또한, 호르몬 작용이 불안정해져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 후 약을 변경해야 피임 효과를 유지하고 부작용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Q2. 곧 놀러 가서 생리 안 해야 하는데 지금 냅다 먹은지 6일차만에 안 먹어도 되는 건가요?
경구피임약 복용 6일차에 약을 중단하면 생리가 다시 시작될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 경구피임약은 호르몬 수치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생리 주기를 조절하는 원리이기 때문입니다.
대처 방법:
1. 생리 늦추는 방법: 놀러 가는 기간을 고려하여 산부인과에서 생리 늦추는 약을 처방받는 것이 가장 확실한 방법입니다.
2. 피임약 복용 유지: 현재 복용 중인 약을 계속 복용하면서 생리 예정일을 최대한 늦추는 방법을 고려해 볼 수 있지만, 효과가 불확실할 수 있습니다.
3. 전문의 상담: 가장 좋은 방법은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현재 상황에 맞는 최적의 방법을 결정하는 것입니다.
주의사항:
* 임의 판단 금지: 인터넷 정보나 주변 사람들의 조언만 듣고 약 복용을 임의로 결정하지 마세요. 반드시 전문의와 상담 후 결정해야 합니다.
* 정확한 정보 제공: 병원에 방문하여 상담할 때 현재 복용 중인 약, 과거 병력, 알레르기 여부 등을 정확하게 알려주세요.
결론:
현재 겪고 계신 증상은 경구피임약 복용으로 인한 부작용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진단과 적절한 조치를 위해서는 반드시 산부인과 전문의와 상담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