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9-05 11:42:11주방 뒷문 안닫으면 위생
안년하세요. 고기집에서ㅜ일하는 직원 입니다. 제가 원래 주방에서 근무 하다가 새로온 주방 직원이랑 트러블로 인해 홀로 옮긴 상태 입니다. 주방에서 원래는 대표랑 둘이 근무할때도 저희가 주방에 뒷문을 통해 쓰레기 버리는 장소랑 흡연 구역이 연결 되어 있습니다.
허나 저같은 항상 문을 닫는게 습관이 돼 있는데 대표가 진짜 애기 마냥 문을 안닫더라고요. 제가 좋게 말해줘도 안고쳐서 항상 제가 닫았습니다. 그런데 이번에 새로 들어온 직원도 절대 문을 안닫고 여름에 더워죽겠는데 춥다면서 문을 오히려 열더라고요... 저는 홀이지만 진짜 그것때문에 홀까지 벌이랑 벌레가 생겨서 그냥 아무말 안하고 가서 문을 닫아줬는데 대표라는 ㅂㅅ이 넌 이제 주방도 아닌데 너가 왜 신경쓰냐 우리가 알아서 하겠다. 이것때문에 벌레 꼬인다 했더니 너네가 청소를 안해서라는 개소리를 시전합니다. 이거 뭐 신고 가능한 방법이 있을까요 위생 문제로? 대표가 근데 이런 사소한 걸로도 존심도 쌥니다...
A
Dr.s Diagnosis안녕하세요, 고기집 위생 문제로 고민이 많으시군요. 주방 뒷문 개방으로 인한 벌레 문제와 대표님의 태도 때문에 힘드신 상황에 대해 안타까운 마음입니다. 위생 문제는 음식점의 신뢰도와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이므로, 적극적으로 대처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1. 위생 문제 관련 신고 가능 여부 및 방법
* 식품위생법 위반 신고: 주방 뒷문 개방으로 인해 해충이 발생하는 것은 식품위생법 위반에 해당될 수 있습니다. 식품위생법 제4조(위생적 취급기준)에 따르면, 음식점은 위생적인 환경에서 식품을 취급해야 하며, 해충으로부터 식품을 보호해야 할 의무가 있습니다.
* 신고 방법:
* 국민신문고: 국민신문고(www.epeople.go.kr)를 통해 식품위생 관련 민원을 제기할 수 있습니다.
* 관할 구청 위생과: 해당 음식점이 위치한 구청의 위생과에 직접 신고할 수 있습니다. 방문 또는 전화로 신고가 가능하며, 증거자료(사진, 동영상 등)를 함께 제출하면 더욱 효과적입니다.
* 식품의약품안전처: 식품의약품안전처(www.mfds.go.kr) 홈페이지에서도 식품위생 관련 신고를 할 수 있습니다.
* 신고 시 유의사항:
* 구체적인 증거 확보: 주방 뒷문이 개방된 사진, 벌레가 발생한 사진 등 구체적인 증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정확한 사실관계: 신고 내용에 허위 사실이 없도록 정확하게 작성해야 합니다.
* 신고 후 진행 상황 확인: 신고 후 처리 결과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2. 대표와의 갈등 해결 방안
* 객관적인 자료 제시: 벌레 발생으로 인해 실제 고객 불만이 접수된 사례, 위생 점검에서 지적받은 내용 등 객관적인 자료를 제시하며 문제의 심각성을 알리는 것이 좋습니다.
* 전문가의 의견: 위생 전문가의 의견을 인용하여 설득력을 높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식품위생 전문가에 따르면, 주방 뒷문 개방은 해충 유입의 주요 원인이 되며, 식중독 발생 위험을 높일 수 있다고 합니다."와 같이 이야기할 수 있습니다.
* 합리적인 해결책 제시: 뒷문 자동 폐쇄 장치 설치, 방충망 설치 등 구체적인 해결책을 제시하며 대표를 설득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추가적인 조치
* 동료 직원과의 협력: 다른 직원들과 함께 문제 해결을 위해 노력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함께 대표에게 의견을 전달하거나, 위생 관리에 대한 교육을 요구할 수 있습니다.
* 노동청 상담: 위생 문제로 인해 근무 환경이 악화되고 스트레스를 받는다면, 노동청에 상담을 요청하여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예시:
"대표님, 최근 주방 뒷문 때문에 벌레가 너무 많이 꼬여서 손님들 컴플레인이 계속 들어오고 있습니다. 저번에 위생 점검 나왔을 때도 이 문제로 지적받았었잖아요. 제가 알아봤는데, 뒷문에 자동 폐쇄 장치를 달면 벌레 문제도 해결되고 위생적으로도 훨씬 좋을 것 같습니다. 비용은 얼마 정도 들 것 같은데, 한번 설치하는 게 어떨까요?"
주의사항:
* 신고는 최후의 수단으로 고려하고, 가능한 한 대표와의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 신고 시 익명성을 보장받을 수 있지만, 완전히 익명으로 처리되기는 어려울 수 있습니다.
* 신고로 인해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부디 원만하게 문제가 해결되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