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6-16 10:24:25

20대 자취

안녕하세요 저는 이제 08년생 내년에 자취를 해야하는 여학생입니다.

제가 지금 해외에서 살고 있는 관계로 어쩔 수 없이 당장 내년부터 집을 알아봐야하는 사정이고 26년도 12월 전까지 집 계약까지 맞춰야하는데 제가 집에 대해 아는게 별로 없어요..

그래서 도움을 받으려고 여러 유튜브 네이버 구글등 검색도 해보고 찾아봤는데 다들 하는 말이 다 달라서 뭐가 맞는 말인지 모르겠어요..

혹시 원룸이나 집 계약할때 꼭 필요한 정보나 꼭 알고 있어야 하는 상식 같은거 좀 알려주실 수 있나요? 아니면 그런걸 정확하게 설명해줄 수 있는 유튜브 채널이라도 부탁드립니다.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2008년생이시고, 내년부터 자취를 시작해야 하는 여학생분이시군요. 해외에 거주 중이신데 2026년 12월까지 집 계약을 마쳐야 하는 상황이라 걱정이 많으실 것 같습니다. 원룸이나 집 계약은 처음이라 낯설고 어려운 점이 많을 텐데, 제가 몇 가지 필수 정보와 상식을 자세히 알려드릴게요. 유튜브 채널도 추천해 드릴 테니 참고하시면 도움이 될 거예요. 1. 예산 설정 및 자금 계획: * 월세, 관리비, 보증금: 자취를 시작할 때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할 부분은 예산입니다. 월세, 관리비, 보증금을 포함하여 매달 얼마까지 지출할 수 있는지 파악해야 합니다. 특히 보증금은 목돈이 필요하므로 미리 준비해야 합니다. * 예시: 월세 50만원, 관리비 5만원, 보증금 500만원으로 예상하고, 이를 기준으로 집을 찾아보세요. * 생활비: 월세 외에도 식비, 교통비, 통신비, 공과금(전기세, 수도세, 가스비), 생필품 비용 등을 고려해야 합니다. * 팁: 가계부 앱을 사용하여 지출을 기록하고 예산을 관리하는 것이 좋습니다. * 대출: 보증금이 부족하다면 주택도시기금에서 제공하는 저금리 전세자금 대출을 알아보세요. 청년 대상 대출 상품이 있으니 조건을 확인해 보세요. 2. 집 구하기: * 위치 선정: 학교, 직장, 교통 편의성, 주변 환경 등을 고려하여 위치를 선정하세요. * 예시: 학교와 가까운 곳, 지하철역과 도보 10분 거리 이내, 편의점이나 마트가 가까운 곳 등 자신에게 필요한 조건을 우선순위로 정하세요. * 직접 방문: 온라인으로 사진만 보지 말고, 반드시 직접 방문하여 집 상태를 확인하세요. * 체크리스트: * 수압: 싱크대와 샤워기의 수압을 확인하세요. * 방음: 벽이 얇으면 소음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옆집 소리가 들리는지 확인하세요. * 채광: 햇빛이 잘 들어오는지 확인하세요. 곰팡이 방지와 난방비 절약에 중요합니다. * 환기: 창문을 열어 환기가 잘 되는지 확인하세요. * 보안: 방범창, CCTV, 현관문 잠금장치 등 보안 시설을 확인하세요. * 하자: 벽, 바닥, 천장에 곰팡이, 누수, 균열 등이 있는지 꼼꼼히 확인하세요. 하자가 있다면 계약 전에 집주인에게 수리를 요구하세요. * 부동산 중개업소: 믿을 만한 부동산 중개업소를 통해 집을 구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공인중개사 자격증을 확인하고, 계약 시 중개 수수료를 꼼꼼히 확인하세요. * 팁: 여러 곳의 부동산을 방문하여 다양한 매물을 비교해 보세요. 3. 계약 시 주의사항: * 등기부등본 확인: 계약 전 반드시 등기부등본을 확인하여 집주인이 맞는지, 융자(대출)는 얼마나 있는지 확인하세요. 융자가 많으면 경매로 넘어갈 위험이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 계약서 작성: 계약서는 꼼꼼히 읽어보고 이해가 안 되는 부분은 중개인에게 질문하세요. 특약 사항(예: 반려동물 사육 금지, 퇴실 시 원상 복구 의무 등)은 반드시 확인하고, 필요한 경우 추가하세요. * 예시: "계약 만료 시 보증금은 즉시 반환한다"와 같은 특약 사항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 확정일자: 계약 후 주민센터에서 확정일자를 받아두면, 보증금을 보호받을 수 있습니다. 확정일자는 전입신고와 함께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 계약금: 계약금은 통상적으로 월세의 10% 정도를 지급합니다. 계약금을 지급하기 전에 집 상태를 다시 한번 확인하고, 문제가 있다면 계약을 취소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