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7-09 03:57:30요양원퇴소
인지정상의편마비50대입니다 80-100세치매노잉160명과함께있는데도저히생활이마지가안져나이도그렇지만알아듣지도못하니문제만터지면무조건제잘못입니다혹시인지정상이면보호자엄이도퇴소가능한지여우선폰이엄어민원사이트라도좀알려주세요,제발 ㅠㅠleesak1971@naver,com이에여3년묶여있었습나다보호자는6개월째연락두절이되었네여직원들은독안에든쥐져모가지고놀기좋은하라는데로다해주니디시한번부탁드려여,제발
A
Dr.s Diagnosis안녕하세요. 3년간 요양원에 계시면서 힘든 시간을 보내고 계시는군요. 인지 기능은 정상이시지만 편마비가 있으시고, 보호자와 연락이 두절된 상황에서 퇴소를 간절히 원하시는 마음이 느껴집니다.
퇴소 가능성:
* 법적 측면: 인지 능력이 정상인 50대 성인이시므로, 본인 의사에 따라 퇴소를 결정할 권리가 있습니다. 요양원에 3년간 계셨고, 보호자와 연락이 두절된 상황이므로, 스스로 퇴소를 진행할 수 있는지 법률 전문가와 상담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대한법률구조공단(국번없이 132)이나 무료 법률 상담을 제공하는 변호사 단체에 문의해 보세요.
* 요양원 계약: 요양원 입소 시 작성하신 계약서를 확인해 보세요. 계약서에는 퇴소 절차, 위약금 등에 대한 내용이 명시되어 있을 것입니다. 계약서 내용을 바탕으로 요양원 측과 퇴소에 대한 협의를 진행해 보세요.
* 보호자 부재: 보호자와 연락이 두절된 상황은 퇴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요양원 측에 보호자와 연락이 닿지 않는다는 사실을 알리고, 본인이 직접 퇴소를 진행하겠다는 의사를 명확히 전달하세요.
퇴소 절차 및 준비:
1. 퇴소 의사 전달: 요양원 원장 또는 담당 직원에게 퇴소 의사를 명확하게 전달합니다. 내용증명 우편을 통해 퇴소 의사를 전달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2. 퇴소 후 거주지 마련: 퇴소 후 거주할 곳을 미리 마련해야 합니다. 편마비로 인해 거동이 불편하시므로, 장애인 편의시설이 갖춰진 주택이나 24시간 간병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설을 고려해 보세요.
3. 경제적 준비: 퇴소 후 생활에 필요한 자금을 확보해야 합니다. 기초생활수급, 장애인 연금 등 정부 지원 제도를 활용하거나, 개인 연금, 보험 등을 통해 자금을 마련할 수 있습니다.
4. 건강 관리: 퇴소 후에도 꾸준한 건강 관리가 필요합니다. 재활 치료, 물리 치료 등을 받을 수 있는 병원이나 보건소를 미리 알아두세요.
5. 민원 신청: 인터넷 사용이 어려우시다면, 가까운 주민센터를 방문하여 민원 신청을 도와달라고 요청하세요. 정부24(www.gov.kr) 홈페이지에서 민원 신청 방법을 안내받을 수도 있습니다.
추가 조언:
* 사회복지사: 지역 사회복지관이나 장애인 복지관을 방문하여 사회복지사와 상담하세요. 퇴소 후 생활에 필요한 정보, 정부 지원 제도, 의료 서비스 등에 대한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장애인 단체: 장애인 단체에 연락하여 비슷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사람들과 교류하고 정보를 공유하세요. 장애인 자립 생활 지원 센터를 통해 자립 생활에 필요한 교육, 상담 등을 받을 수도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요양원에서 3년간 힘든 시간을 보내셨지만, 용기를 잃지 마세요. 퇴소를 위해 적극적으로 알아보시고, 필요한 도움을 요청하시면 분명히 좋은 결과가 있을 것입니다. 건강하시고, 행복한 삶을 되찾으시길 진심으로 응원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