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9-10 08:43:15술값시비문제 경찰이사기라는데요.,.
업주통해서말구요 같이간일행이계산은다함
근데 저한테돈내란이런소리도안하다가 어제경찰에전화와서 사기죄라는데요.합의할의향잇냐물어보니 없다함
합의라는거자체가 내죄를인정한다아닌가요
.
길게는 통화는못하고 간건맞냐 맞다 돈왜앉냇냐 경황이없어서그랫다
경찰도본인이경찰이 돈받아주는데는아니라고하긴함
근데이게사기인가요 .?술값시비는 사기가아니라고들어서요
저랑간일행끼리는 그런거없다는데 .경찰이사기라고하니.,.

A
Dr.s Diagnosis술값 시비 문제로 경찰에서 사기죄로 연락을 받으셨다니 걱정이 많으시겠습니다. 우선, 사기죄 성립 여부는 여러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판단할 수 있습니다.
사기죄의 성립 요건
사기죄는 다음의 요건이 모두 충족되어야 성립합니다.
1. 기망행위: 상대방을 착오에 빠뜨리려는 적극적인 행위가 있어야 합니다. 단순히 돈을 내지 않은 것만으로는 기망행위라고 보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제가 계산할게요"라고 말하고 계산하지 않았다면 기망행위로 볼 수 있습니다.
2. 착오: 기망행위로 인해 상대방이 착오에 빠져야 합니다.
3. 처분행위: 착오에 빠진 상대방이 재산상의 처분행위를 해야 합니다. 술값을 내지 않은 경우, 업주가 술을 제공하는 행위가 처분행위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4. 재산상 이익: 처분행위로 인해 재산상 이익을 얻어야 합니다. 술값을 내지 않아 술값을 지불하지 않는 이익을 얻는 것이 이에 해당할 수 있습니다.
5. 고의: 기망행위를 통해 재산상 이익을 얻으려는 고의가 있어야 합니다. 처음부터 술값을 낼 의사가 없었다는 점이 입증되어야 합니다.
6. 불법영득의사: 타인의 재물을 불법적으로 가지려는 의사가 있어야 합니다.
사례에 대한 분석
* 일행이 계산: 같이 간 일행이 계산을 했다면, 업주에게 직접적인 피해가 발생했다고 보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 돈 요구 X: 업주나 일행이 글쓴이에게 돈을 요구하지 않은 점은 사기죄 성립에 부정적인 요소입니다.
* 경황이 없었다: 돈을 내지 않은 이유가 경황이 없어서 그랬다는 해명은 고의성을 부정하는 요소가 될 수 있습니다.
* 일행과의 관계: 일행과의 관계가 좋다면, 일행이 글쓴이의 책임을 묻지 않을 가능성이 높고, 이는 사기죄 성립에 부정적인 요소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합의에 대하여
합의는 반드시 죄를 인정하는 것은 아닙니다. 법률적으로는 '부제소 합의'로, 민사적인 책임을 면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즉, 형사 처벌과는 별개로 민사상 손해배상 책임을 지지 않겠다는 약속입니다. 하지만, 합의를 하는 것 자체가 혐의를 인정하는 것처럼 비춰질 수 있으므로 신중하게 판단해야 합니다.
대처 방안
1. 정확한 사실관계 파악: 당시 상황을 최대한 자세히 기억하고, 관련 증거(예: 일행과의 문자 메시지, 술집 CCTV 영상 등)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법률 전문가 상담: 변호사와 상담하여 사기죄 성립 여부에 대한 정확한 판단을 받고, 대응 방안을 논의하는 것이 좋습니다.
3. 경찰 조사 협조: 경찰 조사에 성실히 협조하고, 사실대로 진술해야 합니다. 억울한 부분이 있다면 적극적으로 소명해야 합니다.
중요: 위 내용은 일반적인 법률 지식을 바탕으로 한 것이며, 구체적인 사안에 따라 법률 해석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반드시 변호사와 상담하여 정확한 법률 자문을 받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