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7-05 08:06:13

꿰맨 상처에 메디폼

세가지 질문이 있습니다

1.상처에 진물이 회복을 빠르게 해주는가?

2.실밥을 풀 때 까지 메디폼을 교체하기 보단 붙이고 있는게 좋나?

3.상처에 진물이 충분히 있다면 메디폼을 천천히 떼어내도 될까?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꿰맨 상처에 메디폼 사용에 대한 질문 주셨네요. 질문하신 내용에 대해 자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1. 상처에 진물이 회복을 빠르게 해주는가? 네, 맞습니다. 상처에서 나오는 진물(삼출물)은 상처 회복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진물은 다음과 같은 긍정적인 효과를 줍니다. * 습윤 환경 유지: 진물은 상처 부위를 촉촉하게 유지하여 세포의 이동과 성장을 돕고 딱지가 생기는 것을 막아 줍니다. 딱지는 상처 회복을 더디게 하고 흉터를 남길 수 있습니다. * 성장 인자: 진물에는 상처 치유를 촉진하는 다양한 성장 인자들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러한 성장 인자들은 콜라겐 생성, 혈관 형성 등을 촉진하여 상처가 더 빨리 아물도록 돕습니다. * 자가 분해 효소: 진물 속에는 손상된 조직을 분해하고 제거하는 효소가 들어 있어 깨끗한 상처 환경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백혈구: 진물에는 백혈구가 포함되어 있어 감염을 예방하고 염증을 줄이는 데 기여합니다. 메디폼과 같은 습윤 드레싱재는 이러한 진물을 적절하게 유지하면서 외부 오염으로부터 상처를 보호하여 상처 치유에 도움을 줍니다. 2. 실밥을 풀 때까지 메디폼을 교체하기보단 붙이고 있는 게 좋나? 일반적으로 실밥을 풀 때까지 메디폼을 붙이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사항이 있습니다. * 감염 징후: 상처 부위가 붉어지거나, 부어오르거나, 통증이 심해지거나, 고름이 나오는 등의 감염 징후가 보이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야 합니다. 이 경우에는 메디폼을 계속 붙여두는 것이 오히려 문제를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 메디폼 교체 시기: 메디폼은 진물로 인해 부풀어 오르거나, 접착력이 떨어지거나, 오염되었을 때 교체해야 합니다. 교체 시기는 상처의 상태와 진물의 양에 따라 다르지만, 보통 2~3일에 한 번 정도 교체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실밥 풀기 전후: 실밥을 풀기 전에는 메디폼을 붙여 상처를 보호하고, 실밥을 풀고 난 후에도 1~2일 정도는 메디폼을 붙여 상처가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3. 상처에 진물이 충분히 있다면 메디폼을 천천히 떼어내도 될까? 네, 맞습니다. 메디폼을 떼어낼 때는 상처에 자극을 주지 않도록 천천히 부드럽게 떼어내는 것이 중요합니다. 특히 진물이 많이 나와 메디폼이 상처에 붙어 있다면, 무리하게 떼어내지 말고 다음과 같은 방법을 시도해 보세요. * 생리식염수 활용: 생리식염수를 메디폼 가장자리에 충분히 적셔준 후, 메디폼이 자연스럽게 떨어지도록 기다립니다. 생리식염수는 접착력을 약화시켜 통증 없이 메디폼을 제거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 따뜻한 물 샤워: 샤워 중이라면 따뜻한 물을 메디폼에 적셔가면서 천천히 떼어내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진물 흡수: 진물이 너무 많아 메디폼이 쉽게 떨어지지 않는다면, 깨끗한 거즈나 면봉으로 진물을 살짝 흡수해 준 후 떼어내 보세요. 주의사항: * 메디폼을 떼어낸 후 상처 부위가 붉어지거나, 피가 나거나, 통증이 심해지면 즉시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으세요. * 상처 부위를 깨끗하게 유지하고, 감염 예방을 위해 손을 깨끗이 씻은 후 메디폼을 교체하세요. * 메디폼 사용 시 가려움증이나 발진 등의 알레르기 반응이 나타나면 즉시 사용을 중단하고 의사 또는 약사와 상담하세요. Disclaimer: 이 정보는 일반적인 의학적 조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