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7-13 06:01:26약사 대체조제 의무 급해요
현재 생물학적 동등성을 입증한 의약품을 대체조제하는 것이 의무가 아닌거 맞나요? 약사법 제27조 2항에 상관없이
생물학적 동등성을 입증한 의약품을 대체조제하는 것이 의무화 될 시 장점과 단점 알려주세요!! 급합니다!!

A
Dr.s Diagnosis안녕하세요. 약사 대체조제 의무에 대해 궁금하시군요. 현재 대한민국 약사법상 생물학적 동등성을 입증한 의약품이라 하더라도, 약사가 임의로 대체조제할 의무는 없습니다. 약사법 제27조 2항은 '대체조제'에 대한 일반적인 허용 규정이며, 의무를 부과하는 조항은 아닙니다.
대체조제 의무화 시 장점 및 단점
장점:
* 환자의 약값 절감: 대체조제 활성화 시 특허 만료된 오리지널 의약품보다 저렴한 제네릭 의약품으로 대체가 가능해 환자의 약값 부담을 줄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고혈압 치료제인 'A'라는 오리지널 의약품 대신 생동성이 입증된 제네릭 의약품 'B'로 대체하면 약값 차이만큼 환자 부담이 줄어듭니다.
* 의약품 접근성 향상: 약국에서 특정 의약품 품절 시, 대체 가능한 의약품으로 즉시 조제가 가능해 환자의 불편을 최소화하고 의약품 접근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 약사의 전문성 활용: 약사는 의약품에 대한 전문 지식을 바탕으로 환자에게 적합한 대체 의약품을 선택하고 복약 지도를 제공하여, 환자의 안전하고 효과적인 약물 사용을 도울 수 있습니다.
단점:
* 환자의 불안감 가중: 대체조제에 대한 정보 부족이나 제네릭 의약품에 대한 불신으로 인해 환자가 불안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
* 약사의 책임 증가: 대체조제 후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나 약효 변화에 대해 약사의 책임이 커질 수 있습니다.
* 제약사의 반발: 오리지널 의약품의 매출 감소를 우려한 제약사의 반발이 있을 수 있습니다.
* 의료기관과의 갈등: 의사의 처방 의도와 다른 대체조제로 인해 의료기관과의 갈등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참고사항:
대체조제는 환자의 건강과 안전에 직결되는 문제이므로, 의무화 여부를 결정하기 전에 충분한 논의와 검토가 필요합니다. 또한, 대체조제 시 환자에게 충분한 정보를 제공하고 동의를 구하는 것이 중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