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7-07 23:00:09

어깨 이두 사이 멍

헬스 1년 2개월차입니다.

주 4회 정도 운동하고 있고, 고중량보다는 자극 위주로 루틴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며칠 전에는 이두를 자극 위주로 훈련했고, 실패 지점까지 밀었습니다.

그 이후엔 별 문제 없었고 팔 움직임이나 통증도 없었습니다.

그런데 최근 등 운동을 3일 간격 두고 반복하다 보니

갑자기 이두와 삼각근 사이 부위에 멍이 생겼습니다.

(사진 첨부합니다.)

고중량도 아니었고, 이두를 직접 타겟한 운동은 아니었는데

왜 이런 멍이 생겼는지 궁금합니다.

현재는 통증 없고, 팔도 정상적으로 움직입니다.

운동 자세가 문제였던 건지, 아니면 회복이 덜 된 상태에서 자극이 누적된 건지

비슷한 경험 있으신 분들 조언 부탁드립니다!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헬스 1년 2개월 차이시고, 자극 위주로 운동하시는군요. 이두 운동 후 등 운동을 반복하시다가 이두와 삼각근 사이에 멍이 생기셨다니 걱정되시겠습니다. 1. 멍의 원인 사진으로 보아 멍이 든 부위는 이두근과 삼각근 사이의 근육 부위로 보입니다. 헬스 1년 2개월 차이시고, 이두 운동 후 등 운동을 반복하시다가 멍이 드셨다는 점을 고려할 때, 다음과 같은 원인들을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 근육 파열: 이두근이나 주변 근육에 미세한 파열이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고중량 운동이 아니더라도, 반복적인 자극이나 회복이 덜 된 상태에서 운동을 지속하면 미세한 파열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혈관 손상: 운동 중 혈관이 손상되어 멍이 생겼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특히, 등 운동 시 팔을 과도하게 사용하거나, 특정 자세에서 혈관이 압박을 받으면 혈관 손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약물 복용: 만약 아스피린, 와파린 등 혈액 응고를 억제하는 약물을 복용하고 있다면 멍이 더 쉽게 생길 수 있습니다. 2. 운동 자세 및 회복 부족 * 잘못된 자세: 등 운동 시 이두근에 과도한 부담이 가는 자세를 취했을 가능성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로우 동작 시 팔 힘으로만 당기거나, 풀업 시 팔꿈치를 너무 뒤로 젖히는 경우 이두근에 부담이 가중될 수 있습니다. * 회복 부족: 이두 운동 후 충분한 휴식을 취하지 않고 등 운동을 반복하면, 이두근이 완전히 회복되지 않은 상태에서 추가적인 자극을 받게 되어 멍이 생길 수 있습니다. 3. 유사한 경험 저도 가끔 무리한 운동 후 멍이 드는 경우가 있습니다. 특히, 평소에 잘 사용하지 않던 근육을 사용하거나, 운동 강도를 갑자기 높였을 때 멍이 잘 생기는 것 같습니다. 4. 의학적 조언 현재 통증이 없고 팔 움직임에 이상이 없다면, 멍은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사라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병원을 방문하여 진료를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 멍이 점점 커지거나 통증이 심해지는 경우 * 팔 움직임에 제한이 있거나 감각 이상이 있는 경우 * 멍이 생긴 부위가 붓거나 열감이 있는 경우 5. 팁 * RICE 요법: 멍이 생긴 부위에 냉찜질을 하고, 압박 붕대로 감아주면 붓기를 줄이고 회복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팔을 심장보다 높게 유지하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 충분한 휴식: 멍이 완전히 사라질 때까지는 해당 부위를 사용하는 운동을 자제하고, 충분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자세 교정: 등 운동 시 정확한 자세를 유지하고, 이두근에 과도한 부담이 가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필요하다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자세를 교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 스트레칭: 운동 전후 스트레칭을 통해 근육의 유연성을 높여주면 부상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 단백질 섭취: 근육 회복을 위해 충분한 단백질을 섭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닭가슴살, 계란, 두부 등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을 섭취하세요. Disclaimer: 이 정보는 일반적인 지침일 뿐이며 전문적인 의학적 조언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