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9-12 11:33:14

버스 급정거로 인한 사고

출근 중 버스에서 내리려고 계단을 내려가는 와중 버스가 급정거를 하여 계단 하나를 남겨둔 상태에서 미끄러져서있던 남성분과 부딪히면서무릎이 찍히고 손목이 꺾이며 당일엔 멀쩡하다 무릎에 멍들고 손에 힘이 들어가지 않는 상태고팔이 안올라가고 통증이 있는데이건 보상이 되는건가요?

(버스 차량 번호 모름, 기사 대처 없었음, 버스와 시간대만 기억남)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버스 급정거로 인해 부상을 입으신 상황에 대해 문의주셨네요. 우선, 몸이 불편하신데 병원 방문이 어려운 상황이라니 안타깝습니다. 1. 부상 상태 파악 및 응급처치 * 무릎: 멍이 들었다면, 냉찜질을 20분씩 하루에 여러 번 해주세요. 부기가 심하거나 통증이 심하면 압박붕대로 감아주는 것이 좋습니다. 무릎을 움직이기 어렵거나 심한 통증이 있다면 골절이나 인대 손상 가능성이 있으니 반드시 병원에 가셔야 합니다. * 손목: 손에 힘이 들어가지 않는다면, 손목을 고정하고 냉찜질을 해주세요. 손목을 돌리거나 굽히는 동작은 피하고, 통증이 심하면 진통제를 복용할 수 있습니다. 손목이 붓거나 심하게 아프면 골절이나 인대 손상 가능성이 있으므로 병원 진료가 필요합니다. * 팔: 팔이 올라가지 않고 통증이 있다면, 어깨나 팔꿈치 관절에 문제가 있을 수 있습니다. 팔을 무리하게 움직이지 말고, 냉찜질을 해주세요. 팔을 들어 올리기 힘들거나 통증이 심하면 병원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을 받아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2. 보상 가능성 버스 급정거로 인한 사고는 버스 회사의 과실로 인정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따라서 치료비, 휴업 손해, 위자료 등에 대한 보상을 받을 수 있습니다. * 버스 회사에 연락: 사고가 발생한 버스 회사에 연락하여 사고 접수를 하세요. 사고 발생 시간, 장소, 부상 정도 등을 상세히 설명하고, 보상 절차에 대해 문의합니다. * 증거 확보: 사고 당시 상황을 최대한 자세하게 기록해두세요. 버스 노선 번호, 시간대, 사고 지점 등을 메모해두고, 가능하다면 주변 목격자를 찾아 연락처를 확보해두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병원에서 진료를 받으셨다면 진료 기록, 진단서, 치료비 영수증 등을 꼼꼼히 챙겨두세요. * 보험 처리: 개인적으로 가입한 상해보험이나 실손보험이 있다면, 보험금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보험사에 연락하여 사고 사실을 알리고, 필요한 서류를 준비하여 보험금을 청구하세요. 3. 추가 조치 * 경찰 신고: 사고로 인해 부상을 입었고, 버스 기사의 과실이 명백하다면 경찰에 신고하는 것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 경찰은 사고 경위를 조사하고, 필요에 따라 법적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 변호사 상담: 보상 문제에 대해 버스 회사와 원만하게 합의가 되지 않거나, 법적인 도움이 필요하다면 교통사고 전문 변호사와 상담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주의사항: * 사고 발생 후 시간이 지날수록 사고 원인을 입증하기 어려워질 수 있으므로, 가능한 한 빨리 버스 회사에 연락하고 필요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는 병원을 방문하여 의사의 진료를 받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Disclaimer: 이 정보는 일반적인 정보 제공을 목적으로 하며, 법률 또는 의학적 조언으로 간주되어서는 안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