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9-12 08:51:17아파트 주차관리 중 접촉사고에 따른 구상권 청구의 대응방법은?
지하주차장이 없는 아파트에서 주차관리를 하는 경비원 입니다. 2023. 07. 21. 08:22경 아파트 단지내 운행도로에서 벤츠차량을 후진하면서 뒤에 있던 운전자가 탑승한 비엠더블유 차량과 경미한 접촉사고가 발생 하였습니다.벤츠차량의 차주는 자신이 처리하겠다고 하였으나 후방의 비엠더블유 차량 운전자(차주의 부인)에게 선처를 부탁한다고 하니 남편과 의논해 보겠다고 했습니다.그러고는 비엠더블유 차량 차주는 당 아파트를 떠나 이사 하였으나 2년2개월이 지난 2025.09.10. 비엠더블유 보험회사로 부터 채권을 인수한 법무법인이 저에게 구상금 청구(원금 525만원, 자기부담금 50만원, 합계 575만원)를 하며 납입하지 않으면 자손선처리로 소송을 하겠다고 합니다.이곳 아파트는 주민 편의 및 주민요청으로 경비실에 자동차키를 맡기고 있으며 고의가 아닌 단순실수로 인한 피해는 차주가 책임을 지고 이에 동의하지 않는 주민은 차량키를 경비실에 맡기지 않아도 된다는 각서를 받고 있으나 현재 이러한 각서를 찾을 수 가 없습니다.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A
Dr.s Diagnosis안녕하세요, 아파트 주차 관리 중 발생한 접촉사고로 인해 구상금 청구를 받으신 상황에 대해 문의 주셨습니다. 우선, 2년 2개월이나 지난 시점에서 구상금 청구가 들어온 점이 당황스러우실 텐데요, 차분하게 대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1. 구상금 청구의 법적 검토:
* 소멸시효: 민법상 불법행위에 기한 손해배상 청구권의 소멸시효는 '피해자나 그 법정대리인이 손해 및 가해자를 안 날로부터 3년' 또는 '불법행위가 발생한 날로부터 10년' 중 먼저 도래하는 기간입니다. BMW 차량 운전자가 사고 발생 사실 및 가해자를 안 날로부터 3년이 지났는지 확인해 보세요. 만약 3년이 지났다면 소멸시효를 주장하여 구상금 청구를 기각시킬 수 있습니다.
* 과실 비율: 사고 발생 경위, 당시 상황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귀하의 과실이 어느 정도인지 파악해야 합니다. 만약 귀하의 과실이 일부 인정된다 하더라도, BMW 차량 운전자에게도 과실이 있을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후진하는 차량을 인지하고도 안전거리를 확보하지 않았다거나, 경적을 울려 사고를 방지하려는 노력을 하지 않았다면 과실이 인정될 수 있습니다. 과실 비율에 따라 구상금액이 조정될 수 있습니다.
* 경비실 차량 관리 책임: 아파트 주민 편의를 위해 차량 키를 보관하고 관리하는 관행이 있었다는 점, 그리고 사고 발생 시 차주가 책임을 진다는 내용의 각서가 존재했다는 점을 입증할 수 있다면 구상금 청구에 대한 책임을 일부 또는 전부 면할 수 있습니다. 당시 상황을 기억하는 입주민들의 증언이나, 비슷한 내용의 공고문 등을 확보하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2. 대응 전략:
* 내용증명 발송: 법무법인에 내용증명을 발송하여 다음과 같은 내용을 주장하세요.
* 소멸시효 완성 여부 검토 요청
* 사고 발생 당시 상황에 대한 상세 설명 요구 (사고 경위, 과실 비율 등)
* 경비실 차량 관리 책임 면제 근거 제시 (각서 존재 사실, 입주민 증언 등)
* 구상금액 산정 내역 상세 공개 요청 (수리비 견적서, 보험 처리 내역 등)
* 법률 전문가 상담: 변호사, 법무사 등 법률 전문가와 상담하여 구체적인 대응 방안을 모색하세요. 소멸시효 주장 가능성, 과실 비율 조정 가능성, 경비실 책임 면제 가능성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최적의 전략을 수립해야 합니다.
* 보험 가입 여부 확인: 혹시 개인적으로 가입한 배상책임보험이 있는지 확인해 보세요. 보험에 가입되어 있다면 보험회사에 사고 사실을 알리고 도움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 소송 제기 시: 만약 법무법인이 소송을 제기한다면, 법원에 답변서를 제출하고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합니다. 위에서 언급한 소멸시효, 과실 비율, 경비실 책임 면제 등의 주장을 뒷받침할 수 있는 증거를 충분히 확보하여 제출해야 합니다.
3. 추가 조언:
* 감정적인 대응 자제: 법무법인의 주장에 감정적으로 대응하기보다는, 냉정하고 객관적인 태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증거 확보 노력: 가능한 모든 증거를 확보하여 법적 주장을 뒷받침해야 합니다.
* 전문가 도움 적극 활용: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체계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이러한 상황은 복잡하고 법적인 지식을 요구하므로, 꼭 전문가와 상담하여 정확한 법률적 조언을 받으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