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9-12 11:56:471399 이물신고한 음식물이 상하면 조사가 어려울까요
음식에서 이물이 나와서 보관하고 1399에 신고했습니다
이물 음식을 수거해간다고 했는데 여름이라 그런지 음식이 상해버렸네요;;
이 경우엔 조사가 안될까요? ㅠㅠ 파리 들어간 음식 먹을뻔한것도 억울한데ㅠㅠ
A
Dr.s Diagnosis안녕하세요, 식품 이물 신고 후 음식이 상한 상황에 대해 문의주셨네요. 우선, 파리가 들어간 음식을 드실 뻔 했다니 정말 불쾌하고 걱정스러우셨을 텐데요.
결론적으로 말씀드리면, 음식물이 상했더라도 조사 가능성이 완전히 없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몇 가지 고려해야 할 사항들이 있습니다.
조사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이물의 종류: 파리와 같이 눈에 띄는 이물질은 음식의 부패 정도와 관계없이 사진이나 증언 등을 통해 어느 정도 확인이 가능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미세한 이물질이거나 부패로 인해 형태가 변형된 경우에는 확인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보관 상태: 신고 전 음식물을 어떻게 보관했는지도 중요합니다. 냉장 보관을 했다면 부패 속도를 늦출 수 있어 이물질 확인에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상온에 방치했다면 부패가 빠르게 진행되어 조사가 어려워질 수 있습니다.
* 사진이나 영상 증거: 신고 전에 이물질이 들어간 음식 사진이나 영상을 촬영해 두었다면, 부패 정도와 관계없이 이물질의 종류와 형태를 파악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 제조 과정 추적 가능성: 식품 제조 과정에서 이물질 혼입 가능성을 추적할 수 있는지 여부도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밀봉된 제품에서 이물질이 나왔다면 제조 과정상의 문제점을 파악하기 용이할 수 있습니다.
조사 진행 절차:
1. 1399 상담: 우선 1399에 다시 연락하여 현재 상황을 설명하고, 조사 가능성을 문의해 보세요. 담당자는 음식물 부패 정도, 이물의 종류, 보관 상태 등을 고려하여 조사 진행 여부를 판단할 것입니다.
2. 추가 증거 제출: 만약 음식물 사진이나 영상 등 추가적인 증거가 있다면 조사에 도움이 될 수 있으니 담당자에게 제출하세요.
3. 제조사 협조: 필요에 따라 식품 제조사에 연락하여 이물질 혼입 가능성에 대한 자체 조사를 요청할 수도 있습니다.
주의사항:
* 감정적인 대응 자제: 억울한 마음은 이해하지만, 조사 과정에서 감정적인 대응은 오히려 불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차분하고 객관적으로 상황을 설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정확한 정보 제공: 1399나 제조사 측에 정보를 제공할 때에는 최대한 정확하고 구체적으로 설명해야 합니다.
예시:
만약 신고 전에 파리가 들어간 음식 사진을 찍어두었고, 냉장 보관을 했다면 음식물이 상했더라도 1399에서 이물질 확인 후 조사를 진행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 사진 증거도 없고 상온에 방치하여 음식물이 심하게 부패했다면 조사 진행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1399 담당자와 충분히 상담하여 정확한 조사 가능성을 확인하시고, 필요한 경우 추가적인 증거를 확보하여 제출하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