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5-18 09:35:0413개월 아기 기침 고열
5월 9일 저녁, 38.5도의 고열.
5월 10일 지속적인 미열과 37~38도 이상의 고열.
5월 11일 낮에는 열이 없고, 밤에만 38도 이상의 고열.
5월 12일 엑스레이 촬영 결과, 폐에 약간의 염증 소견.
항생제 2일분 처방 후 열이 내림.
5월 14일 재진료, 수액 맞으며 항생제 주사 맞고 피검사까지 했는데 염증 없다고 하셨음. 근데 아직 숨소리가 좋지 않고 가래 기침이 있음. 열은 없음.
항생제 5일분 처방받아 복용 중.
14일 15일 16일 17일 오전까지 기침 멈춤..
5월 17일 오후 1시, 갑자기 38.6도의 고열 발생.
이런 경우 해열제를 먹이고 지켜봐야 할까요, 아니면 응급실이라도 다시 가야 할까요?
월요일에 재진료가 예약되어 있어요.
폐렴을 의심해야 하나요? 5일동안 열 없고 기침도 멈췄었는데..
아이가 저번 달에 돌이었는데 돌발진일까요?
이제 기침도 안하는데 갑자기 열이 나네요.. ㅠㅠ
A
Dr.s Diagnosis안녕하세요. 13개월 아기의 갑작스러운 고열로 걱정이 많으시겠습니다. 현재 상황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몇 가지 조언을 드립니다.
1. 현재 상황 요약:
* 과거 병력: 고열, 기침, 엑스레이상 폐 염증 소견으로 항생제 치료 후 호전.
* 최근 증상: 항생제 복용 중단 후 17일 오후 갑작스러운 고열(38.6도) 발생. 기침은 멈춘 상태.
* 기타: 월요일 재진료 예약. 돌발진 가능성 언급.
2. 고려해야 할 점:
* 재발성 감염: 항생제 치료 후 증상이 호전되었다가 다시 고열이 나는 경우, 다른 종류의 감염이나 항생제 내성균 감염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 폐렴 가능성: 엑스레이에서 폐렴 소견이 있었고, 현재 다시 고열이 나는 상황이므로 폐렴 재발 또는 다른 부위의 폐렴 발생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습니다.
* 돌발진: 돌발진은 고열이 3~5일 지속된 후 발진이 나타나는 특징이 있습니다. 하지만 돌발진 후에도 일시적으로 열이 다시 오르는 경우가 드물게 있습니다.
* 항생제 부작용: 드물지만 항생제 복용 후에도 발열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3. 응급실 방문 여부: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응급실 방문을 고려해야 합니다.
* 고열 지속: 해열제를 먹여도 열이 떨어지지 않고 39도 이상으로 지속되는 경우
* 호흡 곤란: 쌕쌕거리는 숨소리, 가슴 답답함, 호흡이 빨라지는 경우
* 탈수 증상: 소변량 감소, 입술 건조, 피부 탄력 저하
* 기타: 심한 기침, 구토, 설사, 경련, 의식 저하
위에 해당하지 않는다면, 해열제를 먹이고 아이의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하면서 월요일 재진료 시 의사에게 정확하게 진찰받는 것이 좋습니다.
4. 집에서 할 수 있는 조치:
* 해열제 복용: 아세트아미노펜(타이레놀) 또는 이부프로펜(부루펜) 계열의 해열제를 의사 또는 약사의 지시에 따라 복용합니다.
* 예시: 아세트아미노펜 시럽은 보통 4~6시간 간격으로 복용하며, 체중 1kg당 10~15mg을 투여합니다. (ex. 체중 10kg 아기: 100~150mg 투여)
* 수분 섭취: 미지근한 물, 보리차, 이온음료 등을 자주 먹여 탈수를 예방합니다.
* 실내 온도 및 습도 유지: 실내 온도는 22~24도, 습도는 50~60%로 유지합니다.
* 편안한 환경 조성: 아이가 편안하게 쉴 수 있도록 조용하고 안정된 환경을 만들어줍니다.
5. 월요일 진료 시 문의할 내용:
* 고열의 원인 (재발성 감염, 폐렴, 돌발진 등)
* 추가 검사 필요 여부 (피검사, 소변검사, 엑스레이 등)
* 항생제 변경 또는 추가 치료 필요 여부
* 가래 기침에 대한 치료 방법
6. 추가적인 정보:
* 아이의 체온, 해열제 복용 시간, 증상 변화 등을 꼼꼼히 기록해두면 진료 시 도움이 됩니다.
* 다른 가족 구성원에게도 비슷한 증상이 있는지 확인합니다.
Disclaimer: 이 정보는 일반적인 의학적 조언이며, 실제 진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반드시 의사의 진료를 받으시고, 의사의 지시에 따라 치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