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5-02 08:07:45맘모톰 후 또 맘모톰 권유
안녕하세요 우선 저는 만25세, 99년생입니다
6개월전에 양쪽에 혹이 하나씩있어 총 2개를 제거했습니다. 한개는 커질수 있을 것 같아 그냥 빼셨고 하나는 조직검사를 맡겨보신다고 빼주셨고 결과는 양성이었습니다.
맘모톰시술 후 6개월 뒤인 어제 정기초음파를 했는데 또 양쪽에 하나씩 있다고 하셨어요 심지어 두개 다 1cm가 넘고 탄성도 검사했을때 물혹은 아닌것같고 놔두면 커지거나 터질수 있어서 언젠가 뺄것같으니 맘모톰을 또 해보자 하셨습니다.
제가 궁금한건 아직 나이가 20대후반인데 6개월꼴로 큰 혹이 생기고 이렇게 또 맘모톰을 하는게 맞는건가요?
6개월 전에 초음파로는 뺄게 2개만 있다하셔서 시술을한건데 6개월만에 1cm 넘는 혹이 2개나 생길수있는지 궁금합니다.
이학민 선생님께서 답해주시면 정말 감사하겠습니다
A
Dr.s Diagnosis안녕하세요. 맘모톰 시술 후 재발 및 추가 시술 권유로 걱정이 많으시겠네요. 20대 후반의 젊은 나이에 6개월마다 혹이 생기는 상황에 대한 질문에 대해 자세히 답변드리겠습니다.
1. 6개월 만에 1cm 넘는 혹이 2개나 생길 수 있는지:
* 가능성은 있습니다. 유방은 호르몬 변화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조직이므로, 생리 주기, 임신, 스트레스 등 다양한 요인에 의해 혹이 빠르게 자라거나 새로 생길 수 있습니다. 특히 20대 후반은 호르몬 변화가 활발한 시기이므로, 짧은 기간 내에 혹이 커지는 경우가 드물지 않습니다.
* 정확한 진단을 위해 이전 초음파 영상과 비교가 필요합니다. 이전 검사에서 작게 보였던 혹이 성장했을 수도 있고, 새로운 혹이 발생했을 수도 있습니다. 담당 의사에게 이전 초음파 영상과 현재 영상을 비교하여 정확한 판단을 요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2. 6개월 간격으로 큰 혹이 생기고 맘모톰을 반복하는 것이 맞는 건지:
* 단정적으로 "맞다/아니다"라고 말씀드리기는 어렵습니다. 맘모톰은 흉터가 적고 회복이 빠르다는 장점이 있지만, 모든 경우에 최선의 선택은 아닐 수 있습니다. 혹의 종류, 크기, 환자의 나이, 증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치료 방침을 결정해야 합니다.
* 다음 사항들을 고려하여 담당 의사와 충분히 상의하시기 바랍니다.
* 혹의 종류: 이전 조직 검사 결과가 양성이라고 하셨는데, 정확히 어떤 종류의 양성 혹인지 (예: 섬유선종, 낭종 등) 확인해야 합니다. 종류에 따라 경과 관찰만으로도 충분한 경우가 있고, 반드시 제거해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 혹의 크기 및 성장 속도: 현재 1cm가 넘는 혹이 앞으로 얼마나 더 커질지 예측하기 어렵습니다. 하지만 놔두면 커지거나 터질 수 있다는 의사의 소견은, 혹이 빠르게 성장하거나 주변 조직에 영향을 줄 가능성이 있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습니다.
* 환자의 증상: 혹으로 인해 통증, 불편감, 심리적 불안감 등의 증상이 있다면 제거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없다면 경과 관찰을 하면서 추후 제거 여부를 결정할 수도 있습니다.
* 나이: 20대 후반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불필요한 시술을 반복하는 것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하지만 혹이 지속적으로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이 있다면, 적극적인 치료를 고려해야 합니다.
3. 다른 병원 (2차 병원) 전문의와 상담:
* 맘모톰을 다시 결정하기 전에 다른 병원 유방 전문의와 상담하여 추가적인 소견을 듣는 것이 좋습니다. 여러 전문가의 의견을 종합하여 본인에게 가장 적합한 치료 방침을 결정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차 병원에서는 더욱 정밀한 검사 (MRI 등)를 통해 혹의 특성을 파악하고, 맘모톰 외에 다른 치료 방법 (예: 약물 치료, 경과 관찰)을 고려해 볼 수도 있습니다.
4. 추가적으로 고려할 사항:
* 유방암 가족력: 가족 중에 유방암 환자가 있다면, 혹에 대한 더욱 면밀한 관찰이 필요합니다.
* 생활 습관: 건강한 식습관, 규칙적인 운동, 스트레스 관리 등은 유방 건강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결론:
6개월 만에 1cm가 넘는 혹이 2개나 생길 수 있으며, 맘모톰을 반복하는 것이 무조건 잘못된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혹의 종류, 크기, 성장 속도, 환자의 증상, 나이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신중하게 결정해야 합니다. 다른 병원 전문의와 상담하여 추가적인 소견을 듣고, 담당 의사와 충분히 상의하여 최선의 치료 방침을 결정하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