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9-10 00:06:31

아파트 거주중인데요. 아랫층 쪽에서 그러는건지.. 바닥...

아파트 거주중인데요. 아랫층 쪽에서 그러는건지.. 바닥에 누워서 자면 진동이 와서 너무 힘드네요. 처음에는 느린진동 으로 시작해서 빠른 진동으로 바뀌는데.. 빠른 진동으로 바뀌면 몸이 전기 오는것 같고 얼얼해지더라고요. 느린 진동일때는 집 벽 같은 곳에서 뚝뚝 끊기는 소리들리고요. 윗층은 일부러 발망치 소리도 내고 .. 쇳덩이 떨어뜨리는 소리 들리고.. 어떤 때는 등이 갑자기 뜨거워지기도 하고. 이 진동은 뭘로 하는건가요? 도대체?

A
Dr.s Diagnosis
아파트에서 겪으시는 진동과 소음 때문에 힘드신 상황이시군요. 층간 소음과 진동은 삶의 질을 크게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말씀하신 증상들을 바탕으로 몇 가지 가능성을 생각해보고, 어떻게 대처해야 할지 자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1. 진동의 원인: * 건물 구조적 문제: 오래된 아파트나 부실하게 지어진 아파트의 경우, 건물 자체의 진동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특히, 지하철이나 큰 도로와 인접한 경우, 외부 진동이 건물 전체로 전달될 수 있습니다. * 층간 소음: 아랫집이나 윗집에서 발생하는 소음이 진동으로 느껴질 수 있습니다. 특히, 무거운 물건을 떨어뜨리거나, 가구를 끌거나, 운동기구를 사용하는 경우 진동이 심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예시: 아랫집에서 세탁기나 건조기를 돌릴 때, 윗집에서 러닝머신을 사용할 때 * 저주파 소음: 특정 가전제품이나 설비에서 발생하는 저주파 소음은 귀로 잘 들리지는 않지만, 몸으로 느껴지는 진동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 예시: 냉장고, 에어컨 실외기, 보일러 등 * 전기적 문제: 드물지만, 건물 내 전기 배선 문제로 인해 미세한 전류가 흐르면서 진동처럼 느껴질 수 있습니다. 2. 증상에 대한 추가 설명: * 느린 진동: 건물 구조적 문제나 저주파 소음으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벽에서 뚝뚝 끊기는 소리는 배관 문제나 건물 균열로 인한 소음일 수도 있습니다. * 빠른 진동: 층간 소음이나 특정 가전제품의 작동으로 인해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몸이 얼얼해지는 느낌은 진동이 신경을 자극하여 나타나는 증상일 수 있습니다. * 등이 뜨거워지는 현상: 이는 진동과는 직접적인 관련이 없을 수 있으며, 스트레스나 불안으로 인한 신체 반응일 가능성이 있습니다. 3. 대처 방법: * 소음 측정: 스마트폰 앱이나 소음 측정기를 이용하여 소음 수준을 측정하고 기록합니다. 이를 통해 소음 발생 시간, 빈도, 강도 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관리사무소: 관리사무소에 층간 소음 문제를 제기하고, 중재를 요청합니다. 관리사무소는 소음 발생 가구에 경고하거나, 방음 시설 설치를 권고할 수 있습니다. * 층간 소음 이웃사이센터: 층간 소음 갈등 해결을 위한 전문 상담 및 중재 서비스를 제공하는 기관입니다. * 경찰 신고: 층간 소음이 심각하여 법적 조치가 필요하다고 판단되면, 경찰에 신고할 수 있습니다. 다만, 층간 소음은 생활 소음으로 분류되어 즉각적인 해결이 어려울 수 있습니다. * 법적 조치: 민사 소송을 통해 손해배상을 청구할 수 있습니다. 소송을 위해서는 소음 측정 기록, 진단서 등 객관적인 증거 자료가 필요합니다. * 개인적인 노력: * 방음 매트 설치: 바닥에 방음 매트를 설치하여 소음과 진동을 줄입니다. * 귀마개 또는 이어폰 사용: 잠잘 때 귀마개를 착용하거나, 백색 소음 앱을 이용하여 소음을 차단합니다. * 스트레스 관리: 스트레스는 증상을 악화시킬 수 있으므로, 규칙적인 운동, 명상, 취미 활동 등을 통해 스트레스를 해소합니다. 4. 병원 방문: * 지속적인 진동과 소음으로 인해 신체적, 정신적 고통이 심한 경우, 병원에 방문하여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신경과나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와 상담하여 적절한 치료를 받으세요. 5. 추가 조언: * 소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객관적인 증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소음 측정 기록, 사진, 동영상 등을 꼼꼼히 기록해두세요. * 이웃과의 대화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감정적으로 대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