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7-12 05:32:52

간호사 경력증명서

간호사 일을 4-5년 전에 했습니다. 다시 간호사일을 할 줄 모르고 경력증명서를 발부받지 않았습니다. 혹시 이런경우에도 해당 병원에 전화해서 발부받아야 하나요?제가 다닌 병원이 한곳이 아니여서요.. 한번에 발부받는 방법은 없나요?

그리고 3년 지나면 발부 못받나요..?ㅠㅠ

그리고 코로나 파견 간호사로도 몇달 씩 일했는데 그건 관련 도청 감염관리과에 경력증명요청해야하는건가요?

이것도 1-2년은 지났습니다ㅜㅜ

A
Dr.s Diagnosis
안녕하세요. 간호사 경력증명서 발급에 대한 질문 주셨네요. 몇 가지 상황을 나눠서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1. 퇴직한 병원 경력증명서 발급: * 원칙: 간호사로 근무했던 병원에 직접 연락하여 경력증명서를 발급받는 것이 원칙입니다. 병원마다 발급 절차가 조금씩 다를 수 있으므로, 해당 병원 인사팀이나 원무과에 문의하시는 것이 가장 정확합니다. * 발급 가능 기간: 일반적으로 경력증명서 발급에 법적인 제한 기간은 없습니다. 즉, 3년이 지났더라도 발급받는 데 문제가 없어야 합니다. 다만, 병원 내부 규정이나 전산 시스템 보관 기간에 따라 발급이 어려울 수 있으므로, 미리 확인해 보는 것이 좋습니다. * 한 번에 발급 가능한지: 여러 병원에서 근무한 경력이 있다면, 각 병원마다 개별적으로 경력증명서를 발급받아야 합니다. 한 곳에서 모든 경력을 합산하여 발급해 주는 경우는 드뭅니다. 2. 코로나19 파견 간호사 경력증명: * 발급 기관: 코로나19 파견 간호사로 근무한 경력은 해당 도청 감염관리과에 문의하는 것이 맞습니다. 파견 근무를 지휘하고 관리한 기관에서 경력증명서를 발급해 줄 가능성이 높습니다. * 시간 경과: 1~2년이 지났더라도 경력증명서 발급을 시도해 볼 수 있습니다. 다만, 관련 자료 보관 여부에 따라 발급이 불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3. 경력증명서 발급 시 유의사항: * 신분증: 경력증명서 발급 시 본인 확인을 위해 신분증(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등)을 지참해야 합니다. * 재직 기간: 정확한 입사일 및 퇴사일을 알고 있으면 발급이 더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습니다. * 발급 수수료: 병원마다 경력증명서 발급에 따른 수수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4. 추가 조언: * 온라인 발급 가능성: 일부 병원에서는 온라인으로 경력증명서 발급 서비스를 제공하기도 합니다. 해당 병원 홈페이지나 관련 앱을 통해 확인해 보세요. *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 경력증명서 발급이 어려운 경우,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를 통해 간접적으로 경력을 증명할 수 있습니다. 국민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앱에서 발급 가능합니다. 중요: 위에 안내해 드린 내용은 일반적인 정보이며, 실제 발급 가능 여부는 해당 병원 또는 기관의 정책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반드시 직접 문의하여 확인하시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