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2025-09-07 09:38:14현부심 절차과정
제가 작년11월 에 군입대 해서 훈련소에서 정신병원다니면서 충동조절 장애 우울증 ADHD 진단 을받앗습니다 올해 3월에 부대에서 휴가미복귀해서 2달구치소 살고 집행유예 받고 나왓습니다 군생활을 진짜 못하겟습니다 진짜 통제받는것도 너무 싫고 단체생활이 너무 힘듭니다 그래서 사고도 많이 치고해서 2번전출왓습니다 꼭 병원에 입원 해야지 현부심이 진행된다고 하는데 맞나여 절차가 너무 궁금 합니다 잘아시는분 연락좀 주세여
A
Dr.s Diagnosis현부심(현역 복무 부적합 심사) 절차에 대해 궁금하시군요. 훈련소에서 정신과 진단을 받으셨고, 이후 군 생활에 어려움을 겪고 계신 상황을 고려하여, 현부심 절차와 관련하여 자세히 안내해 드리겠습니다.
1. 현부심 개요:
현부심은 현역 복무가 어려운 병사가 남은 복무 기간을 채우지 않고 전역할 수 있도록 심사하는 제도입니다. 정신 질환뿐만 아니라 신체 질환, 가정 문제 등 다양한 사유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2. 현부심 절차:
* 상담 및 진단: 군 병원 또는 지정된 민간 병원에서 정신과 전문의와 상담을 받고 정확한 진단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훈련소에서 이미 진단을 받으셨더라도, 현재 상태를 정확히 평가받기 위해 재진단을 받는 것이 좋습니다.
* 예시: 우울증의 경우, '주요 우울 장애', '지속성 우울 장애' 등 구체적인 진단명을 확인하고, 증상의 심각도, 발병 시기, 경과 등을 자세히 기록합니다.
* 현부심 신청: 부대 내 상담관, 지휘관 또는 군 병원 정신과 군의관에게 현부심 의사를 밝히고 신청합니다. 필요한 서류를 안내받아 작성하고, 진단서, 의무 기록, 복약 기록 등을 첨부합니다.
* 심사: 부대 내 현부심 위원회에서 신청자의 상태, 제출 서류, 군 생활 기록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합니다. 필요에 따라 신청자에게 추가적인 소명 기회를 주기도 합니다.
* 결정: 현부심 위원회는 '현역 복무 부적합', '계속 복무', '전역 보류' 등의 결정을 내립니다. '현역 복무 부적합' 결정이 내려지면, 전역 심사위원회로 회부됩니다.
* 전역 심사: 전역 심사위원회는 현부심 위원회의 결정과 신청자의 상황을 다시 한번 심사하여 최종 전역 여부를 결정합니다.
* 전역: 전역 심사에서 전역이 결정되면, 병역법에 따라 보충역 또는 전시근로역으로 편입됩니다.
3. 입원 필요 여부:
현부심 진행에 반드시 입원이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정신 질환의 정도가 심각하여 정상적인 군 생활이 어렵다고 판단될 경우, 입원 치료가 현부심 심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 예시: 자해 시도, 타인에 대한 공격적인 행동, 심각한 망상이나 환각 증상 등이 있는 경우, 입원 치료를 통해 증상을 안정시키고 객관적인 평가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4. 집행유예:
휴가 미복귀로 인한 집행유예는 현부심 심사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하나의 참고 사항일 뿐, 정신 질환의 심각성과 군 생활 적응 여부가 더 중요한 판단 기준이 됩니다.
5. 추가 조언:
* 정신과 전문의와 상담: 현재 상황에 대해 정신과 전문의와 자세히 상담하고, 현부심에 필요한 의학적 근거를 확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객관적인 자료 준비: 진단서, 의무 기록, 복약 기록 등 객관적인 자료를 철저히 준비하여 현부심 위원회에 제출합니다.
* 법률 전문가 도움: 필요하다면 군 법무관이나 변호사 등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현부심 절차를 준비하는 것도 고려해 보세요.
Disclaimer: 본 답변은 일반적인 의학 정보에 기반한 것이며, 개인의 구체적인 상황에 대한 진단이나 치료를 대체할 수 없습니다. 반드시 전문 의료기관을 방문하여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받으시기 바랍니다.